종합유선방송「골격」잡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한국형 CATV 윤곽이 거의 모두 드러났다. 방송개발원이 주최하고 공보처·체신부·상공부등 관계부처가 발제한「종합유선방송, 어떻게 할 것인가」토론회(9 ∼14일·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참석자들은 CATV 도입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데는 별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았다. 최종적인 의견수렴 절차인 토론회가 종료됨에 따라 정부는 이달중 세부적인 계획을 국회에 보고키로 하고 ▲5월중 지역분할과 사업자·사업계획 세부지침 공시 ▲8월중 프로그램공급자 허가 ▲연내로 방송국운영자허가 ▲95년 방송정규화등 구체적 일정을 마련했다.
이로써 유선방송시행의 타당성 논란에서부터 세부적인 이권 사항에 이르기까지 올림픽이후 CATV의 시행문제을 두고 벌어진 길고 복잡한 연구와 토론이 마무리된 셈이다.
종합유선방송의 주체를 ▲프로그램공급 ▲방송국 운영 ▲전송망사업등으로 3분한「한국형 CATV」는 대체로 5∼7년후면 손익분기점을 만나게되는「해볼만한 미디어 사업」이며 광대역종합정보망(ISDN)등 뉴미디어 개발에도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공보처 황현탁유선방송과장은 『정부에서 전문조사기관인「리서치 앤드 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메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65%가 종합유선방송에 가입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같은 낙관적인 견해는 우리의 유선방송이 미국이나 일본·유럽에 비해 ▲공중파 채널수가 적고 ▲낮방송을 하지않으며 ▲직접위성방송에 앞서 도입된다는 등의 분석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공보처는 CATV가 국내에 완전히 정착할 때까지 공중파방송의 낮방송을 허가하지 않고 직접위성방송도 유선방송으로 중계토록 할 방침임을 분명히했다. CATV는 또 프로그램공급의 활성화와 국산기기의 사용을 위해 외부프로그램 편성비율 확대및 금융·세제지원등 정부로부터 특혜에 가까운 제도적 도움을 받게될 것으로 보인다.
체신부가 디지틀 전송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는 방송통신위성이 올라가면 CATV프로그램의 전송·배분도 매우 쉬워져 종합유선방송 시행 지역은 곧 전국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정부가 마련한 CATV 사업의 세부사항을 보면 다음과같다.
▲지역-행정구와 가구수 평균 10만을 기준으로 한 전국 1백16개 방송구역(1차적으로6개대도시와 도청소재지등 57곳 허가)
▲채널구성-뉴스·영화·스포츠등 10∼20개(채널의 임대불가, 편성시간은 자율, 신청희망업체가 많고 공급능력이 있으면 복수허가)
▲프로공급분야-종합뉴스·경제뉴스·영화(기본및 유료)·스포츠·음악·줌고교육·성인교육·가정오락·문화몌술·어린이·종교·공공(국회중계·교통·법률정보등)·지역등
▲가입료-설치비 3만∼1O만원, 월시청료 1만∼1만5천원(조기정착을 위해 부담 최소화)
▲편성권=프로그램공급자(전국광고는 프로공급자, 지역광고는 방송운영자)
▲광고편성·이시간당 10분(17%), 전국광고 80%·지역광고 20%
▲방송국운영-사업비는 35억∼60억원(예:인력 35명, 건물 2백평등) <채규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