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마크」실효없다" 민간 「녹색마크」추진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소비자에게는 환경보전형 상품의 소비를 권장하고, 기업체에는 환경보전형 상품의 개발을 촉진토록 하기 위해 지난해 도입된 정부차원의 「환경마크」가 기업과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당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민간환경단체가 제2환경마크제도의 도입을 추진 중이어서 화제와 함께 논란을 빚고 있다.
재야환경운동 단체인 공해추방운동연합(의장 최열)은 다음달 초 환경운동연합(가칭)의 발족을 앞두고 이른바「녹색마크」라는 제2의 환경마크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나 환경처가 이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공추련 녹색마크위원회 준비위원회 사무국장 황상규씨(30)는『국내 환경마크제도는 그 대상이 12개 항목이나 6개 항목에서 기업들의 신청이 전혀 없어 60개 항목 3천5백 종의 독일, 35개 항목 1천2백 종의 일본에 비해서도 크게 뒤져 있는 실정으로 거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민간차원의 제2 환경마크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환경마크」를 도입한지 불과 1년 남짓해 아직 섣부른 평가를 내리기 힘들다는 점과 앞으로 공추련 「녹색마크」사용료로 매년 기업이 부담할 비용이 상당히 많다는 점등에서 논란을 빚고 있다.
공추련 측은 국내기업들이 환경오염을 줄이는 제품에 대해 녹색마크의 부착을 원할 경우 계약기간을 2년으로 하되 사용기금으로 연간 기업매출액(공장도 가격 기준)의 1%를 물도록 하고 계약 때에는 전년도 총매출액의 0.2%를 내도록 한다는 것이다. 공추련은 또 주간지『녹색시장』의 발행과 국내외 홍보활동을 통해 기업이미지를 높이는 등 해당기업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이에 대해 환경처 측은『연간사용료가 환경마크는30만∼1백 만원인데 비해 녹색마크는 재생 두루마리 화장지를 생산하는 추모나리자의 경우 1억7천6백 만원에 달하는 등 전체적으로 크게 비싸 실효를 거두기 힘들 것』이라며 공추련의 계획에 비관적인 눈길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공추련은 연탄재·폐유·폐지 등으로 제품을 만들어 파는 14개 업종의 재활용사업체 4백86곳에 이미 설문 조사서를 보냈고, 김상종 서울대교수·김재옥 소비자 시민의 모임 사무처장 등 각계인사 12명으로 「녹색마크 위원회」를 구성키로 하는 등 준비작업을 서두르고 있어 기업의 호응여부가 큰 관심거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