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평에 60 m 쌍둥이주거빌딩|현장소장 김종수 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주차빌딩건축 현장소장 김종수씨 (39·삼성중공업). 그는 요즘 남다른 보람과 자부심으로 아침을 맞고 있다. 국내최고 높이의 주차빌딩건설이라는 난공사를 자신이 진두지휘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출근 길이 가슴 뿌듯하기만 하다.
지난 8일 서울역 앞 염전교 주차빌딩 건설현장. 높이 60여 m의 철골공사를 끝마치던 이 날 김씨는 현장의 부하직원 10여 명과 함께 기분 좋게 한잔했다. 올 1월 7일 첫 삭을 뜬 지 딱 2개월만에 사고 한 건 없이 골격을 잡아놨다는 것이 자신이 생각해도 대견스러웠다.
주변에 빼곡하게 들어선 야트막한 건물을 뚫고 나오듯 세워진 이 주차빌딩은 실은 쌍둥이. 얼핏 한 건물로 보이는 이들이 차지한 바닥면적은 각각 13평 남짓으로 서로 키 재기를 하듯 마주보고 있다.
대지 면적 당 건물높이에서 이 쌍둥이 주차빌딩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가늘고도 긴 「세장도」에서 바닥면적 3천여 평에 높이 2백49m인 63빌딩을 가볍게 제치고 있다.
『워낙 좁은 공간에 높게 건물을 올리다 보니 특히 공사가 어려웠습니다. 기존 건물과 한 길 남짓한 공간을 두고 철골을 쌓을 때는 제가 봐도 아슬아슬하더군요』2백kg∼1t의 철골 1전2백여 개를 조립해가는 중량작업이자 고소작업이어서 금씨는 현장안전지도에 특히 신경을 많이 썼다고 말했다.
쌍둥이 주차빌딩의 주차용량은 각각 60대 규모 . 건물을 세우지 않고 13평의 바닥에만 차를 댄다면 승용차 3대가 겨우 비집고 설 수 있는 공간에 무려 20배의 효율을 확보했다.
골격은 완성됐지만 김씨의 고생은 정작 지금부터. 차량용 엘리베이터 설치·배선 등 내부 작업을 위해 그는 하루에 적어도 대여섯 차례씩 사다리를 타고 60m높이의 이 철골을 기둥 오르내리둣 해야할 판이다.
『좋아서 덤빈 일인데 어렵다고 대숩니까. 난공사를 치르고 나면 보람은 더 큰 법이지요』 컴퓨터로 통제되는 전자동 차량 입출고 시스템을 갖춘 이 쌍둥이 주차빌딩은 오는 5월 말 께 공사가 끝나 선뵐 예정. 금씨는 『촌놈이 서울의 관문에 우뚝 주차빌딩을 세운 것이 자랑스럽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