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 겨냥 철저한 친정체제/민자당직 개편 의미와 정국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선 논공행상… 민정계도 배려/내용 새나가자 막판 일부 교체/당 지도체제 바뀌면 사무총장 비중 더 커져
김영삼대통령은 3일 민자당 당직개편을 단행함으로써 신한국 건설을 수행해나갈 당정의 쌍두체제를 완벽히 구축했다. 새정부 조각에 이어 이번 당인사에서도 「김영삼」색깔이 완연해 향후 국정운영이 당정간 일치된 호흡 아래 김 대통령의 개혁의지가 세차게 펼쳐질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번 인사는 막판에 일부가 뒤바뀌는 등 다소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대선 논공행상이 적용되고 민정계 중간계파에 대해서도 배려한 흔적이 엿보인다.
3역 중에서도 가장 핵심으로 꼽히는 사무총장에 민정계 최형우의원을 임명한 대목이 의미심장하다. 최 의원은 김 대통령의 오른팔로 오랜 측근이란 점에서 김 대통령이 당을 직접 관장하겠다는 의도와 함께 민정계에 대한 무장해제를 의미한다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당초 사무총장엔 민정계 인사가 기용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었다. 청와대 비서실장과 정무1장관 등 정부의 핵심요직을 박관용·김덕룡씨 등 민주계가 차지한만큼 당은 계보 안배차원에서 민정계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민정계 일각에서 표출된게 사실이다.
그러나 김 대통령은 「민주계 독식」이란 민정계측의 불평을 묵살해버렸다.
민자당은 조만간 최고위원제를 없애고 당 지도체제를 총재­대표(당수 또는 당의장)­사무총장으로 이어지는 강력한 단일지도체제로 바꿀 계획이다. 대표 및 사무총장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은 물론이다. 총재인 김 대통령이 마음먹기에 따라선 총장의 권한이 더욱 커질 수 있는 자리에 핵심측근을 앉힌 것이다. 김 대통령이 계파안배 차원을 떠나 당도 완전 장악,개혁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이번 인사로 민자당이 김 대통령 친정체제로 예속됐다는데는 이견이 없다. 더 나아가 일부에선 김 대통령이 집권당 내의 권력이동이 아니라 사실상의 정권교체의 인상을 국민에게 심어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김 대통령은 2일 한완상부총리겸 통일원장관과의 조찬 면담자리에서도 『5,6공과는 개혁의 내용·방향은 물론 추진세력에 대한 국민의 동의가 다르다』고 밝힌데서도 그점이 분명해진다.
김 대통령은 앞으로 여론을 선도하거나 개혁을 반대하는 세력의 반발무마에 당을 방패막이로 동원할 공산이 크다. 그런 점에서 최 총장의 저돌적이고 직설적인 성향은 음미할만한 대목이다.
당초 김 대통령의 인사구상은 최 총장·이세기정책의장·김용태원내총무로 알려졌으나 마지막 순간에 김종호정책의장·김영구총무로 뒤바뀐 배경이 궁금증을 낳고있다.
청와대 측근들은 인사기밀이 새나가 언론에 사전보도 됨으로써 철통보안을 생명으로 여기는 김 대통령이 격노한 끝에 바꿨다고 설명하고 있다. 김 대통령의 평소 성향에 비춰볼때 일견 수긍이 가기도 한다.
이 경우 보안유지라는 절차상의 문제가 인사의 본질내용을 바꿀 정도로 중요한 것이냐는 본말전도의 처사에 대한 비판이 뒤따를 수 있다.
일부에선 1차 인사안이 새나간뒤 민정계측이 대선 논공행상을 민주계에만 편파 적용한다고 강력 반발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1차안의 이세기정책의장·김용태원내총무는 계파성향이 없는 무색인물로 꼽히는 반면,신임 김종호의장과 총장에서 자리바꿈한 김영구총무는 각각 민정계 실세중진으로 불리는 김윤환·이한동의원과 밀착돼 있는 인사들이다. 1차안대로 인사가 단행됐더라면 민정계의 완전무장 해제를 뜻한다고도 볼 수 있었겠지만 결과적으로 당내 실력을 어느정도 인정한 셈이 됐다.
청와대의 고위관계자는 이번 당직개편의 가장 큰 의미는 김 대통령의 민자당 친정체제 구축이지만 인선기준으론 대선기여도가 적잖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최 총장은 민주산악회 회장을 맡아 사조직을 통한 선거운동으로 공로면에서 남에게 뒤질 수 없다고 자부하고 있다.
최 총장이 그늘에서 뛰었다면 김영구총무는 공조직의 핵심사령탑을 맡아 공개적 활동을 벌인 1등공신이다. 이 때문에 새정부 조각과정에서 그의 입각이 꾸준히 점쳐지기도 했었다. 총장에서 총무로 옮겨앉기는 했으나 김 대통령으로선 당초 배제됐던 그를 3역에 남겨둠으로써 「인사치레」는 한 셈이됐다.
김종호정책위의장은 지난 경선때 민정계로선 일찌감치 김영삼 지지노선을 택했고 김윤환의원과 함께 YS추대위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다. 추대위 멤버들이 김 대통령 만들기 공훈에 비해 청와대비서실 인선 및 새정부 조각과정에서 「홀대」당했다는 평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김 의장 임명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추대위 멤버 전체에 대한 배려로 읽혀진다.
사무총장에서 원내총무로 강등(?) 된 김영구의원은 『신한국 건설에는 여야가 없으며 국회가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짤막한 소감을 밝힌뒤 기자들의 질문은 거의 받지않고 이석.
김종호정책위의장은 자신의 발탁배경이 민정계 계파안배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나의 오랜 행정경험이 참작됐을 것』이라며 정책의 최우선을 경제회생에 두겠다고 했다.
강재섭대변인은 『앞으로 아스팔트 위에 삽을 질질 끌고갈때 나는 소음과 같은,국민의 귀를 더럽히는 여야 성명전은 가급적 피하겠다』고 다짐했다.<허남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