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논술방] 예뻐야만 공주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9면

양영민(의정부 민락초6)

 <가>21세기는 외모지상주의가 판을 치는 세상이다. 모델, 탤런트, 영화배우 심지어 일반인까지도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성형수술을 한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는 왜 생겼을까. 나는 우리가 어렸을 적부터 읽어왔던 여러 동화책들 역시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기는데 영향을 끼쳐 왔다고 생각한다. 동화책에 자주 등장하는 주인공인 왕자와 공주들은 항상 아름답고 멋진 외모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등장한 영화 ‘슈렉’에서는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왕자와 공주의 모습이 그려지지 않았다. 그러면, 제시문 ‘개구리 왕자’이야기와 영화 ‘슈렉’을 함께 비교해보자.

 <나> 모든 동화에 등장하는 왕자와 공주는 멋지고 아름다운 모습으로만 그려진다. 그리고 그들은 뛰어난 외모 덕분인지 쉽게 결혼을 한다. 겉모습과 주어진 집안 배경만으로 결혼이 성사된 것이다. 하지만 ‘슈렉’에서는 멋진 왕자와 아름다운 공주 대신 흉측한 외모를 가진 주인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만을 가지고 결혼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에게 주어진 권력과 부귀를 벗어버렸다.

 <다> 또한 제시문 ‘개구리 왕자’에서는 공주가 금공을 물속에 빠뜨려 어쩔 줄 몰라한다. 하지만 금공을 꺼내기 위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는다. 여러 동화에 등장하는 공주들처럼 다른 누군가에게 의지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일뿐이다. 그렇지만 ‘슈렉’에 등장하는 공주들은 자신들의 일을 스스로 해결하며 더 이상 나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때론 무림의 고수가 되어 악당들을 물리치는 모습까지도 보여주었다.

 <라> 여러 동화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우리들에게 환상만을 심어준다. 하지만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만을 가지고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첨삭·총평

 

전체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잘 정리한 글이다. 하지만 단락 나누기가 다소 미흡하고 주어진 논제를 일반화해서 글을 전개한 점은 아쉽다.

 <가>단락에서 영민 학생은 “외모지상주의는 왜 생겼을까”라는 문제 제기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답까지 제시하고 있다. 문제를 제기한 부분과 어느 정도 답을 제시한 부분의 단락을 구분했다면 좀 더 높은 통일성을 지닌 단락이 되었겠다.

 <나>단락에서는 “모든 동화에 등장하는 공주는 멋지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그려진다”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여기에도 아쉬운 점이 있다. <논제>는 ‘모든 동화’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제시문 <가>를 비판하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모든 동화’라고 일반화해서 자신의 생각을 전개한 점이 아쉽다. 앞으로는 논제에 조금 더 충실해야겠다.

 <다>는 덧붙일 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좋은 내용으로 가득하다. 제시문<가>를 분석한 내용도 정확하고, 제시문<나>와 비교ㆍ대조한 내용도 정확하다. 앞으로도 이번처럼 좋은 내용으로 글을 구성하기 바란다.

 <라>단락에서는 ‘성급한 모습’이 엿보여 아쉽다. 여러 동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우리에게 환상만 심어준다고 이야기하는데 ‘동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외모가 환상을 심어주는 것인지, 그 어떤 어려움이라도 ‘척척’ 이겨내는 행동ㆍ모습이 환상을 심어주는 것인지 모호하다.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글을 쓰기 바란다.

중앙일보 joins.com의 논술카페 ‘우리들의 수다(cafe.joins.com/suda)’ 초등논술방에 글을 올려주세요. 매회 30명을 골라 학림논술아카데미 연구원ㆍ강사들이 총평을 해드립니다.

◆다음 주제=우리 속담에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때 오뉴월은 음력이기에 무척 더운 때입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한여름에 감기에 걸려 고생하는 사람들이 무척 많은데 왜 그럴까요? 제시문을 읽고 현대인들이 여름 감기로 고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고 ‘오뉴월 감기’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제시문1)의 도움을 얻어 여러분의 생각을 얘기해 보세요.(600자±100자)

*보기 글은 ‘우리들의 수다’의 ‘초등 주제글 보기’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황성규 학림필로소피논술연구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