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생각은…

'세계 과학경쟁력7위'에 만족해선 안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한 개의 시험관은 모든 것을 뒤집는다. 과학의 승리자는 모든 것의 승리자다.”

1934년 4월 19일,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인 ‘과학데이’의 구호였다. 그로부터 70여 년이 지난 지금, 첨단 과학기술 문명의 경이로운 혜택을 받고 살아가는 21세기에도 이 말은 여전히 유효하다.

지난달 스위스 로잔에서 기분 좋은 소식이 날아들었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 55개 평가 대상국 중 우리나라가 과학경쟁력 7위, 기술경쟁력 6위를 차지했다는 것이었다.

2003년도 과학경쟁력 14위, 기술경쟁력 24위와 비교할 때 비약적인 결과다.

그러나 이런 결과에 결코 만족해선 안 된다. 선진국의 기술장벽이 가파르게 높아지고 후발국의 추격이 가속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최근 우리나라가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샌드위치 처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만연하고 있다. 과학기술력 강화만이 우리의 살길임을 깊이 인식하고 긴장을 풀어서는 안 된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5위권 수준의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의 대중화와 생활화’ ‘과학기술의 특성화와 효율화’ ‘과학기술의 세계화’ 정책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적 선택과 집중, 우수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전주기적 인력 양성 및 관리체계 구축, 기초·원천연구 강화 등 과학기술 혁신정책을 더욱 강화해 국가경쟁력을 크게 키우는 데 한층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대선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은 장기적 시각에서 기획·투자하고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정권 변화나 정치적 대결로 인해 과학기술 발전이 흔들리거나 지연돼선 안 된다. 이 나라를 책임지겠다는 사람들은 우리나라가 무한경쟁의 글로벌 무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경쟁력을 우선 키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국민 앞에서 선언하고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과학기술 경쟁력은 탑을 쌓는 것처럼 기초·원천기술을 튼튼히 하면서 첨단기술을 접목시키고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를 획기적으로 육성해야 생긴다.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치밀한 계획, 지속적 연구, 융합적 협력만이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귀중한 유산이다.

김우식 과학기술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