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접근 막으면 국민만 피해 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방침('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해 21일 정치권은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여야가 따로 없었다. 대선 주자들도 목소리를 합쳤다.

한나라당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은 "언론에 대한 정부의 편향적 시각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정권 말기에 이런 일을 하는 것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박근혜 전 대표 측 한선교 대변인도 "정부가 주는 정보나 보도하라는 식의 신 언론탄압"이라며 즉각 취소를 요구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기자실 통폐합 방안은 재검토돼야 한다"고 했고, 열린우리당 정동영 전 의장 측은 "6개월 시행할 조치를 졸속으로 만들었다가 바꾼다는 게 얼마나 국가적 낭비냐"고 지적했다.

정당들도 반발했다. 한나라당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현 정부가 왜곡된 언론관을 바탕으로 시대착오적인 신 언론통제를 시도하고 있다"며 "특히 이번 조치를 통해 일방통행식 국정홍보를 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대변인도 "민주화 세력을 자처하는 현 정부가 언론자유를 탄압하다니 소가 웃을 일"이라며 "폐쇄할 곳은 기자실이 아니라 홍보처"라고 비판했다.

중도개혁통합신당 양형일 대변인은 "기자실 통폐합으로 얻을 효율성보다는 이로 인해 초래될 비효율과 부작용이 더 클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발상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도 '신문 없는 정부를 원하는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이번 조치의 철회를 요구했다. 김정현 부대변인은 "현 정부의 국정 실패 원인 중 하나가 비판적 목소리를 용납하지 못하는 언론관"이라며 "언론의 대정부 접근을 차단한 피해는 결국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중심당도 공식 논평을 통해 "이번 조치는 '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이 아니라 '취재 차단 독재화 방안'"이라고 공격했다. 열린우리당 최재성 대변인도 "국민의 알 권리 충족이나 언론의 정부 견제를 위한 통로가 좁아지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