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협회 "취재 봉쇄 조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경제정의실천연합 박완기 정책실장은 이날 "기존의 기자실 운영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기자실 통폐합 조치는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언론의 정부 감시 기능을 상당 부분 왜곡할 여지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

박 실장은 이어 "현재 청와대는 정부 정책에 대해 언론의 비판이 강해지고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된 데 따른 부담감이 컸다. 앞으로 정책을 일방적으로 홍보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언론단체에서의 반발은 심했다. 신문협회와 신문방송편집인협회는 공동 성명을 통해 "국정 정보에 대한 언론의 접근 기회를 최대한 차단해 결과적으로 정부가 정보를 독점하고자 하는 반민주적인 취재 봉쇄 조치"라며 즉각적 철회를 요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성명서에서 "'취재 지원의 선진화'란 그럴싸한 제목을 붙였는데 이번 방안은 노무현 대통령의 왜곡된 언론관이 그대로 투영된 것"이라며 "정부는 공정한 취재환경을 조성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정부가 배포하는 보도자료에 대한 의존도를 부추겨 국민의 알 권리를 위축시킬 뿐"이라고 비판했다.

학계의 비판도 이어졌다. 이민규 중앙대(신문방송학) 교수는 "최근 과거에 비해 기자들이 취재원을 만나기가 훨씬 힘들어졌는데 이번 조치로 정보의 접근권이 더욱더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영철 연세대(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는 "브리핑 제도 자체가 취재활동 제한의 여지가 있는데, 브리핑 제도를 개선하지 않고 오히려 개악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종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