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김포 매립장 진입로변 주민「제2쓰레기 파동」조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김포해안 쓰레기 매립장에 일반산업 폐기물 반입을 반대해온 김포지역 주민들의 농성·시위사대는 환경처와 주민간 합의로 일단락 됐으나 인천시 서구 백석동 등 매립장 진입로주변 6개 지역 주민들도 쓰레기 수송·매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분진·악취·해충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며 보상 및 이주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어「제2의 쓰레기 파동」이 우려되고 있다.
관할 인천시 서구의회도 특위를 구성, 실태조사를 벌이는 한편 김포지역과 동일한 수준의 보상책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어 당국의 대처방안이 주목되고 있다. <약도 참조>
◇쓰레기 공해지역=수도권 쓰레기 매립장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환경오염 및 지역개발낙후 피해가 예상되는 곳은 인천시 서구 백석동·시천동·검암동·경서동·공촌동·연희동 등 서곶지역으로 2천3백가구 8천30여명의 주민들이 주로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가운데 매립장 진입로에 인접한 한들부락(검안동 1통 1백50여가구 5백42명)독정부락(검암동 2통 96가구 3백12명), 거월부락(검암동 8통 54가구 1백92명)등 3개 부락(3백가구 1천46명)은 피해정도가 심각하다.
◇주민 진정=피해대상지역 주민들은 쓰레기 수송·매립에 따른 소음·분진·악취·해충발생 등으로 주거환경이 크게 나빠지고 있으며 장기적(25년) 매립에 따른 환경오염 누적으로 지역개발도 뒤떨어지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지난 1일 통별로 4명씩 40명으로「피해주민 환경오염방지 대책위원회」(위원장 유완규)를 구성한데 이어 직접 피해권인 검암동 1·2·8통 3개 부락 3백가구 주민 중심으로 대책위원회(위원장 김준모·45)를 구성, 지난 10일 피해보상·환경오염방지·주민이주대책수립 등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환경처에 제출했다.
이와 함께 최근 인천시 서구의회도「김포 쓰레기 매립장 실태조사 특위」(위원장 김병득·53·가좌4동)를 구성, 쓰레기 매립지 및 지역실태조사·주민의견청취 등 조사활동을 편 뒤 지난 15일 수도권 매립지 주변주민 피해대책촉구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전망=본격적으로 쓰레기가 매립될 경우 현재 하루 4백∼5백여대인 쓰레기운반차량 통행량이 7천~8천대로 대폭 증가하고 앞으로 25년간 쓰레기매립이 계속될 경우 환경오염은 불가피하므로 환경보전대책은 물론 김포지역과 함께 직·간접적으로 쓰레기공해 피해를 보게 되는 인천지역 주민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 각계의 일반적인 반응.
그러나 환경처는『매립장 진입로 주변의 서곶지역 주민들에 대한 보상까지 할 경우 엄청난 예산을 확보할 현실적 방법이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어 주민과의 마찰이 예상되고 있다. <김정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