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근 의원 내달 평양行 한나라식 ‘포용정책’ 전달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호 01면

한나라당 최고위원인 정형근(62ㆍ부산 북-강서갑) 의원이 12월의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집권할 경우 북한에 대한 화해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이른바 ‘햇볕정책’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북한 당국에 직접 전달하기 위해 4월 평양 방문을 추진 중이다. 정 의원은 최근 한나라당이 대북·통일 정책을 재정비하기 위해 구성한 태스크포스(TF)팀 책임자다.

기존 對北 강경 정책서 선회 … “대선 앞두고 新북풍 막아야”

이와 관련,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는 15일 “유연하고도 적극적인 대북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으며, 김형오 원내대표는 14일 “북한이 한나라당에 대해 오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기부(국정원 전신) 1차장 출신인 정 의원은 대공수사국장이었던 1992년 최고위급 간첩사건인 ‘이선실 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의 수사를 지휘했다. 정치 입문 후에는 햇볕정책을 주도한 김대중 전 대통령을 공격하는 소위 ‘저격수’ 활동으로 당내 보수진영의 목소리를 대변해 왔다. 다음은 정 의원과의 문답.

-북한에 왜 가려 하는가.

“북한은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자기들이 모두 죽는다고 생각하는 것 아니냐. 인도주의적 지원도 끊길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한나라당이 집권해도 대북 정책이 별로 바뀔 게 없다는 얘기를 해주려 한다.”

-북한이 정 의원의 방문을 허락할까.

“원래 2월 12일부터 5박6일간 방북 일정이 확정됐었다. 함세웅 신부와 함께 가기로 했었다. 북측은 그때 주민들의 삶이 비참해 남측 인사에게 좀처럼 공개하지 않는 묘향산 북쪽 지역까지 보여주겠다며 적극적이었다.”

-그런데 왜 못 갔나.

“방북이 임박한 시점에서 북측에서 ‘6자회담으로 예민한 시기인 만큼 좀 미루자’고 보류 입장을 통보해 왔다. 현재 방북 2차 시도를 하고 있다.”
6자회담은 베이징에서 2월 8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됐다.

정 의원의 방북 추진에 대해 정부의 고위 당국자는 “북한엔 한나라당 지도부의 방북이 나쁘지 않고, 남한의 정치권에 여러 채널을 갖는다는 점에서 오히려 이익이 되는 측면이 있다”며 “북한 당국이 정 최고위원의 방북을 허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자신의 방북 방침이 ‘한나라당식 신포용정책’이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들은 정 의원의 방북 준비는 한나라당의 대북 정책이 유화적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인 동시에 대선을 앞두고 ‘신북풍(新北風)’이 불 여지를 아예 없애려는 시도라고 설명하고 있다. 정 의원은 “한나라당은 ‘이념논쟁의 덫’에 걸리면 헤어나기 어렵다”며 “방북의 목표는 대선에서 북한·이념 이슈를 잠재우는 데 있다”고 했다.

◇함세웅 신부와 동반 방북= 정 의원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1974년 정의구현사제단 결성을 주도했던 함세웅 신부와 함께 평양을 방문할 계획이다. 함 신부는 안중근 의사 기념사업회 이사장도 맡고 있다.

기념사업회 측은 “함 신부가 4월 초·중순께 안중근 의사 의거 100주년 기념 사업을 남북이 공동 개최하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함 신부와의 동행에 대해 “극과 극은 통한다고 하지 않느냐. 지난해부터 몇 차례 만나 진지하게 내 입장을 설명하니 내 진심을 알아주더라”고 말했다. 2004년 12월 열린우리당 당시 이철우 의원의 조선노동당 가입 논란 때 정 의원은 이 의원을 강하게 비난했고, 함 신부는 정 의원과 한나라당을 향해 “쓰레기는 청산해야 한다. 제거 대상이지 화해의 대상이 아니다”고 비난했었다.

함 신부는 2주일 전부터 피정(避靜·가톨릭 신부들이 외부와 연락을 끊고 묵상이나 기도에 잠기는 것) 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