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일 조총련 재산 유입 “눈독”/일과 수교땐쯤 10조엔 이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원유수입 중동 접근 가속화/무공 보고서
북한이 90년부터 대일수교를 서두르는 것은 일본 정부로부터 받게될 배상금보다는 조총련의 재산유입을 더 크게 노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통일연맹이 발표한 조총련과 산하단체의 일본내 재산은 토지·건물만도 20조2천7백억엔(약1천5백억달러)에 달하고 조총련계 교포의 개인보유 자산까지 합할 경우에는 48조엔이 넘는 것으로 추정됐다.
무역진흥공사는 최근 펴낸 「북한의 대외무역동향」에서 이같은 조총련계의 재산이 일·북한의 수교로 합법적인 이전이 가능할 경우 적어도 10조엔 이상이 북한으로 흘러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일본정부가 대북한 배상금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50억달러(약6천8백억엔)의 15배 가까운 규모다.
이와 함께 북한은 구소련의 붕괴와 올해부터 중국이 국제시가의 90% 수준에서 경화결제를 요구해 원유수급이 어려워지자 원유수입선을 이란 등 중동으로 바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공은 『지난 2월 평양주재 이란대사의 신임장 제정시 김일성 주석이 제시한 주요협의 사항이 이란산 원유도입과 북한 근로자의 이란 건설공사 현장진출이었다』며 갈수록 대중동 접근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밖에 무공은 북한이 ▲구동구 국가들의 정치적 영향은 차단하는 대신 교역수준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고립탈피를 위해 지역적으로 가깝고 비동맹의 성격이 강한 동남아와의 접근을 시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무공이 최근 북한과 교역을 한 세계 61개국을 대상으로 역추산한 결과 90년말 현재 수출 20억6천만달러,수입 29억7천만달러로 9억1천만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고 91년 수출입 통계작업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나 경화결제가 늘어나 교역규모는 90년에 비해 대폭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