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자 관련 은감원 신복영 부원장 일문일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추적한 돈 국민당에 간건 분명/유용사실 언론 새나가 조기발표
현대전자의 대출금 유용을 발표한 은행감독원 신복영 부원장은 4일 정주영씨의 주식매각 대금이 개인 및 통일국민당 계좌로 들어간게 사실이라면 정상을 참작하겠다』고 말해 3일 밤의 발표가 충분한 검토없이 이루어진 것임을 사실상 시인했다. 그는 정상참작이 무엇을 뜻하느냐는 질문에 개인 의견임을 전제,『주력업체 취소등 기계적인 제재는 곤란하다』고 밝혔다.
다음은 현대측의 반박에 대해 신부원장과 기진 일문일답 내용.
­현대측은 48억3천만원이 정회장과 국민당·현대중공업으로 흘러간 것이라는 발표에 대해 현대전자 종업원에게 주식 판 돈이 주식의 주인(정회장 및 현대중공업)에게 건네진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데.
▲그 부분은 아직 확인해 보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확인중이다. 그러나 자금흐름만 보면 회사 당좌계정에서 나간 대출금이 분명히 정씨와 국민당으로 흘러간게 사실이다.
­확인도 되지않은 사실을,그것도 현대측에 4일까지 소명하라고 해놓고 3일 밤 긴급히 발표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머뭇거리다가) 조사를 하고 있는 사실이 일부 언론에 흘러나갔기 때문에 서둘러 발표했다. (3일 밤 대출금 유용사실을 발표할 당시 신부원장은 며칠후에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위」에서 당장 발표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말했었다.)
­겉으로 드러나는 자금흐름은 대출금의 유용이라도 실제 내용이 현대가 주장하는 주식 판 돈이라면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주식 판 돈이라는 주장은 어느정도 믿을만 하다. 그러나 다른 계좌에 있던 주식 판돈은 일단 그냥 둔 상태에서 대출금이 정회장 및 현대중공업에 건네진 것은 잘못이다. 또 종업원에게 주식 판 돈이라면 별도계좌를 만들어 정회장에게 건네줘야 할텐데 이같은 회계처리를 하지 않은 것은 석연찮다.
­그같은 경우 회계원칙상 별도계좌로 관리해야 하나.
▲꼭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어쨌거나 대출이 일어난 시점보다 주식매각 대금이 회사계좌로 들어와 대출금이 꺼진 시점이 늦다면 그것이 비록 하루 차이라도 대출금의 유용은 유용이다.
­그것은 지나친 형식논리가 아닌가.
▲(대답없음)
­주식매각 대금이 그 주인에게 돌아간 것인지는 어떻게 확인할 방침인가.
▲감독원 및 주거래 은행인 외환은행을 통해 사실여부를 알아보고 있다. 그런데 외환은행이 오늘(4일) 오전 현대측이 제출한 소명자료에 대해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까지 제출하라고 했더니 현대측이 직접 나와서 확인하라고 해 외환은행 직원들이 회사에 나가 현대가 낸 소명자료의 사실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확인 결과 회사주장이 맞으면.
▲개인 의견으로는 주력업체 취소와 같은 기계적인 제재조치를 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생각한다. 확인한 후에 다시 얘기하도록 하자.
­중앙투자금융에 있는 가명계좌가 회사 것 이라고 했는데 현대는 정회장 개인계좌라고 주장했다.
▲검사를 담당한 감독원 직원들로부터 회사 계좌라고 보고받은 상태다. (회사계좌라면 정치자금 유용 규모가 54억6천만원이 되며 개인계좌라면 유용액이 34억5천만원이 된다).
­현대가 대출금을 정치자금으로 유용할 목적이 있었다면 쉽게 드러나는 수표거래를 했었겠는가.
▲그것은 모르겠다. 아마 당국이 그런 조사까지 하리라고는 예측하지 못한 것이 아니겠는가.<심상복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