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회계 등 서비스업 생산성 미국 절반도 안 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로 시장 개방이 확대될 법률.회계 서비스를 비롯한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이 미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시장 개방으로 들어올 외국 업체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대형화.전문화 등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사업서비스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따르면 미국의 노동생산성을 100으로 봤을 때 법률.회계와 건축.엔지니어링.정보처리.광고.디자인 등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2005년 기준)은 42로 조사됐다. 노동생산성은 부가가치 총액을 취업자 수로 나눈 것을 말하며 노동생산성이 낮다는 것은 고용이 생산하는 부가가치가 그만큼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의 생산액(부가가치)은 2005년 약 40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5.5%를 차지했지만 미국(12.5%).일본(7.7%) 등 OECD 국가 평균(11.0%, 2003년 기준)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사업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도 2860만원으로 금융(8170만원).통신(1억7650만원) 등에 비해 매우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