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0만원씩 3년 똑같이 부었는데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역시 장기투자가 답이다. 코스피 지수가 1500을 넘어서면서 3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쏟아졌던 적립식 펀드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1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2003년 이후 설정돼 현재 3년이 넘은 수탁액 100억원 이상 성장형펀드(주식비중 70% 이상)는 모두 23개로, 이들 펀드의 10일 기준 적립식투자 수익률은 평균 50.46%를 나타냈다. 각 펀드별로는 수익률 편차가 있고 투자기간도 다소 다르긴 하지만, 평균적으로 매월 초 10만원씩 3년간 360만원을 불입했을 경우 541만6560만원을 손에 쥘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는 비슷한 조건의 정기적금과 비교하면 10배 가까운 수준의 수익이다. 연이율 4.1%에 월 10만원씩 불입한 3년 만기 정기적금의 경우 만기에 쥘 수 있는 돈이 세후 379만2510원, 수익률로 따지면 5.35%에 불과하다.

특히 2003년11월 설정된 '미래에셋드림타겟주식형'에 가입해 지금까지 매월 정액형 적립식 투자를 한 경우 수익률이 67.11%에 달했다.

그렇다고 적립식 펀드가 만능은 아니다. 거치식으로 들 수 있는 목돈이 있는 데도 굳이 적립식 펀드에 가입할 필요는 없다. '적립식은 위험을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 판매사의 주장은 적립금이 쌓여갈 수록 설득력이 떨어진다. 10만원씩 30개월을 불입해 300만원이 모인 상태에서 10만원을 또 보탰다고 위험이 크게 줄어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3년 이상된 적립식 펀드의 투자 수익률 분포는 33~67%이지만, 이를 3년전 설정 당일에 거치식으로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수익률은 60~151%에 달한다. 제로인의 최상길 상무는 "적립식 펀드는 목돈이 없는 경우 저축의 대안으로 할 수 있는 투자"라고 말했다.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