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부 '융합 전공' 만든다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내년 서울대 신입생은 여러 학과의 전공을 하나로 묶은 ‘연합전공’을 택할 수 있게 된다. 서울대가 구상하는 연합전공은 PPE(철학ㆍ정치ㆍ경제학), 금융수학(경영학ㆍ수학), 프랑스학(불어불문학ㆍ사회학ㆍ경제학) 등이다. 여러 전공을 융합 한다는 점에서 ‘비빔밥’ 전공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한 학생이 두 개 분야를 전공하는 복수전공과 구별된다.

이장무(사진) 서울대 총장은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대에서 열린 ‘미래 학문ㆍ대학 콜로키엄’에 참석해 “연합전공을 둬 각기 다른 단과대가 함께 하는 교육과정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사회가 융합을 요구한다”며 “학과나 단과대도 소멸되고 생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장은 “현재 본인이 원하는 학과에 들어가지 못해 방황하는 서울대생이 엄청나게 많은데, 이는 지나친 (학문의) 분화 때문이 아니냐”며 “인문대가 특히 (학생 이탈이) 심한데 만약 어문학을 배우면서 사회대의 문화ㆍ지역학을 함께 배울 수 있다면 (이런 현상이) 훨씬 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학문 융합이 인기학과에 쏠리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합전공 구상은 지난달 21일 서울대 인문대가 발표한 ‘인문학 활성화 방안’과 맥을 같이한다. 인문대는 어문학에 지역경제ㆍ경영학 등을 융합한 ‘프랑스학’ ‘중남미학’ 등을 제시했다. 지난해 서울대 인문대 재학생의 20%가 법대ㆍ경영대 등으로 전과(轉科)했다.

이와 관련, 김완진 서울대 교무처장은“10개 이상의 연합전공을 추진 중”이라며 “이르면 내년 1학기, 늦어도 2009년 1학기에 확실히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대 학생들은 1학년 때는 교양과목을 수강하며 2학년이나 3학년이 될 때 전공을 선택한다. 따라서 내년 신입생, 경우에 따라서는 06ㆍ07학번까지 연합전공을 할 수 있다. 김 처장은 “연합전공에 대해 각 단과대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학부 교육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
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전공을 시행하더라도 경영학과ㆍ불어불문학과 등 기존의 학과를 폐지하고 새로운 학과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이 총장은 “물리ㆍ화학ㆍ어문 등으로 나눠진 학문체계가 앞으로 계속 유지될지 상당히 회의적”이라면서도 “그러나 급격히 바꾸기보다 현 체계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얹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기존의 학과를 두고 그 속에서 연합전공 등을 통해 선택의 폭을 넓히겠다는 것이다.

구희령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