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백악관 "총론은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30일 자정이 임박한 시각, 한·미 FTA 최후의 협상무대인 서울 남산 하얏트 호텔 정문 앞에서 경찰들이 철통 경비를 서고 있다. 반짝이는 불빛이 협상장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교착과 반전, 진통이 새벽까지 이어졌다.김성룡 기자

한.미 양국이 30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러나 자동차.쇠고기 분야에서 막판 진통이 거듭되면서 양측은 협상 시한을 이틀 연장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양국 협상팀이 총론에 합의했다"며 "각론에 대해서는 좀 미뤄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남은 핵심 쟁점을 조율하고 조문화 작업의 차원에서 2~3일이 걸린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이는 양국이 사실상 '선(先) 타결-후(後) 조문화 작업'에 합의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단 양국 정부가 큰 틀에서 합의를 봤다는 의향서를 정해진 시간 안에 의회에 보낼 수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추가로 작업할 필요가 있고, 그 이후 담판해야 할 부분은 담판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양측이 조문화 작업 중에 큰 틀의 합의가 번복될 가능성에 대해 "신의성실의 원칙이 있지 않느냐"며 부인했다. 이에 따라 미 협상단은 의회가 부여한 행정부의 무역촉진권한(TPA) 만료 시점인 31일 오전 7시(미국시간 30일 오후 6시)나 법적 최종 마감 시한인 다음달 1일까지 큰 틀의 합의안을 본국 정부와 의회에 보고한 후 세부적 사안에 대한 실무 조율을 하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협상단은 막판 협상 전략을 '정면 승부'로 택했다. 한국 측은 이날 오후 9시 협상장인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미국 협상팀에 우리 측 최종 안을 던졌다. 이에 대해 미국 협상팀은 본국 정부와 의회 쪽에 연락한 뒤 기습적으로 '선 타결-후 조문화 작업'을 역제안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한동안 고민 끝에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대신 한국 측은 자동차 분야에서 미국의 관세 철폐를 포함한 안을 역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 막판까지 양국 협상단은 쇠고기.자동차를 놓고 진통을 거듭했다. 미국에 자동차 관세 철폐 분야를 일부 양보하는 대신 한국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검역 요구를 관철시키는 방안을 놓고 산업자원부와 농림부가 충돌하기도 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한.미 FTA 협상이 타결되면 다음달 1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권오규 경제부총리 등 정부 전 부처 장관들이 참석하는 FTA 관련 워크숍을 직접 주재할 것이라고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이 밝혔다.

홍병기.박승희 기자<pmaster@joongang.co.kr>
사진=김성룡 기자 <xdragon@joongang.co.kr>

◆ 신문 제작 마감 시간이 지나도록 한.미 FTA 협상이 끝나지 않아 일부 지역에는 최종 결과가 실리지 않은 신문이 배달됐습니다. 신문에 싣지 못한 내용은 조인스닷컴(www.joins.com)에 게재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