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기획 경선캠프 필승전략 ② 박근혜의 7계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27일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를 방문해 특강에 앞서 학생회 간부들과 간담회를 하며 활짝 웃고 있다.원주=오종택 기자

8월 경선을 앞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늘 미소띤 모습이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에게 지지율 1위 자리를 내준 지 6개월이 지났다. 당장 지지율 반등의 조짐도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조급함을 보이지 않는다. 대신 그는 "경선전은 아직 시작도 되지 않았다"고 말한다.

박 전 대표 캠프에선 "4.25 재.보선을 계기로 지지율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에게 힘이 되는 것은 뭘까. 필승 7계명은 이랬다.

①주류는 흔들리지 않는다=박 전 대표는 지난달 27일부터 '민생 투어'를 계속 중이다. 전국 각지에서 강연하고, 민생 현장을 찾는다. 하지만 어느 곳을 찾든 당원의 마음을 잡는 게 중요한 목표다. 당내 주류를 호시탐탐 넘보는 이 전 시장을 경계하는 '집안 단속' 행보다. 박 전 대표 측은 당심(黨心.당원 지지)에선 언제나 이 전 시장을 앞섰다고 주장한다. 경선에서 당심의 비중은 절반을 차지한다.

박 전 대표 측은 당의 주류임을 자부한다. 2004년 총선 때 탄핵 위기로 침몰하던 한나라당을 되살린 게 박 전 대표라는 것이다. 박 전 대표 측은 "탄핵 위기 극복, 재.보선 연승, 국가보안법.사학법 투쟁 때 이 전 시장은 과연 어디에 있었느냐"고 묻는다.

②'미다스의 손', 지지율을 뒤집어라=박 전 대표는 책으로 치면 '스테디 셀러'다. 23% 안팎의 현재 지지율은 고정 지지표란 얘기다. 하지만 이 정도 지지율로는 경선에서 승산이 없다. 스테디 셀러를 지지율 40% 이상의 베스트 셀러로 바꿔야 한다.

박 전 대표 측에선 4.25 재.보선을 역전의 기회로 보고 있다. 박 전 대표는 대표 재임시 각종 재.보선과 2006년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이끌었다. 선거에 관한 한 '미다스의 손(황금을 만드는 신화속의 손)'으로 불렸다. 그런 만큼 심대평 국민중심당 대표가 나선 대전 서을 선거에 역량을 집중해 한나라당이 이기면 '박근혜 바람'이 다시 거세게 불 것으로 박 전 대표 측은 기대한다.

③'플러스 2% 지도자론'을 확산하라=우리나라의 잠재 경제성장률은 5% 정도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7% 경제성장을 공약했다. 그는 "플러스 2%는 지도자의 몫"이라며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만 풀어도 성장률이 2.7%포인트 올라가고 법질서만 바로잡아도 매년 1%포인트씩 성장률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박 전 대표는 4월부터 수도권 30~40대를 공략할 공약도 집중적으로 발표해 지도자론에 힘을 실을 작정이다.

④"I'm in to save my country(나라를 구하기 위해 나섰다)"=지난달 미국 하버드대 강연에서 박 전 대표가 던진 '출사표'다. 힐러리의 표현법을 빌렸다. 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사심이 없다"고 강조한다.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라를 위해 나섰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의 최근 구호는 "남성에서 여성으로"다. 경선 과정에선 "여성이 여성을 찍어야 한다"는 점도 부각시킬 계획이다.

⑤박근혜가 변했다=올 초 대선 행보를 시작한 뒤 박 전 대표는 '승부사'로 바뀌었다. 헤어 스타일을 바꾸고, 지방에서 숙박하는 등 과거와 다른 모습을 보였다. 연설 화법도 적극적으로 변했다. 목소리의 톤이 높아졌고 손짓 등 제스처가 훨씬 커졌다. 연설 중엔 "그렇지 않습니까? 여러분!"이라고 청중의 동의를 이끌어 낸다.

⑥본선에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야=박 전 대표는 검증과 네거티브는 구별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더 나아가 이 전 시장 측이 검증을 네거티브라고 부른다고 불만이다. 대선 후보의 정책이나 이념.도덕성을 검증하는 게 '왜 네거티브냐'는 것이다.

박 전 대표 측이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는 이 전 시장의 약점을 파고들겠다는 전략도 숨어 있다. "당내 경선에서 검증되지 않은 후보가 대선에 나갈 경우 범여권의 검증 공세를 견딜 수 없다"고 박 전 대표 측이 말하는 것은 이 전 시장을 염두에 둔 것이다.

⑦깨끗한 경선을 사수하라=박 전 대표는 '깨끗한 경선'을 강조한다. 그는 "대표 시절 금권 공천과 파벌을 없앴다"고 말한다. 또 "다가오는 경선에서도 구태와 비리를 용납할 수 없다"고 한다. 줄 세우기 논란과 맞물려 이 전 시장을 겨냥한 측면이 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