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의 공천전략(14대 총선고지:4)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후계갈등 후유증 계파안배로 무마/정주영 신당·5공 움직임 감안 현역위주 될듯
민자당의 총선전략은 긴박감을 주고 있는 대권후계 논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총선전에 김영삼 대표를 차기 대통령후보로 확정짓느냐,또는 후보결정문제를 일체 총선후로 미루느냐에 따라 전략의 기본 틀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지금 공천작업이 전면 중지상태이고 총선체제로 가동이 늦어지는 것은 이 문제가 판가름나지 않아서다.
총선전 확정론은 김대표계가 위협하는 집단탈당 사태를 예방하고 후계갈등을 선거쟁점으로 써먹으려는 야당의 속셈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후계자가 김대표로 굳어지지 않으면 『민자당은 총선후 깨진다』 『김대표는 총선만 치르고 나면 용도폐기된다』고 들고 나올 야당의 선전공세를 원천봉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김대표계 의원들의 지역구에선 이 문제를 매듭짓지 않고선 크게 고전할 수밖에 없다고 아우성이다.
내각제반대 주창자인 김대표의 후계위치확보는 내각제 추진가능성을 총선무기로 내놓으려는 야당의 기도를 막는 효과가 있다는 것.
반대로 총선후 자유경선에 의한 후보결정론은 총선전에 김대표를 후계자로 일방적으로 결정하면 범여권의 분열을 초래,총선에 실패할 것이니 만큼 「뇌관」을 건드리지 말자는 것이다.
「YS지명」에 어떤 이유를 단다해도 노태우 대통령의 「굴복」 형태가 돼버려 걷잡을 수 없는 레임덕(권력누수) 사태가 발생,전통적 여당전략인 안정희구성향 표의 집결이 힘들다는 주장이다.
무엇보다 김대표의 아성인 부산·경남을 빼놓고 다른 지역에선 여권 무소속 후보의 대거출마로 인한 「일야다여」 현상을 막지 못해 총선을 그르친다는 판단이다.
때문에 노대통령이 어느쪽을 선택하더라도 후유증의 최소화가 총선전략의 핵심요소가 될 수 밖에 없다.
현재 당내의 대체적 분위기대로 김대표 옹립쪽으로 노대통령이 선택을 한다면 호남대 비호남 구도로 선거전략이 짜여질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총선후 후보결정」쪽이라도 호남대 비호남 구도에다 노대통령의 이미지와 세최고위원의 지역별 역할분담 전략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2백37개 지역구중 우선 부산·경남(전체 39석)은 「부산정권」 탄생 가능성을 부각시키면 쉽게 「싹쓸이」할 수 있다는 자신이다.
대구·경북(전체 33석)은 노대통령이 집권후반기를 밀어주자는 「호소」가 먹힐 것이며 문제가 되는 여권 후보의 난립도 판세가 잡히면 해결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음 충청·강원·경기지역은 민주당을 「김대중당」으로 격하시켜 반DJ감정을 부추기고 안정심리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승패의 핵심인 서울(전체 44석)은 호남대 비호남구도에다 「차선의 선택」 전략을 구사할 생각이다. 즉 정치불신의 심화속에 「덜 나쁜쪽」이 민자당이며 민주당은 정권을 맡을 능력이 없음을 강조한다는 것.
호남(전체 39석)은 일부지역만을 전략지역으로 선정,집중 지원함으로써 의석을 건지지 못해도 득표율을 놓고 「세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만족한다는 것.
이같은 지역별 차등화 전략에다 「인물우위」를 주장할 수 있는 공천작품을 내놓겠다는 생각으로 이미 지난 연말 기초선정 작업을 끝낸 상태다.
김윤환 사무총장은 『공천확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최종단계에서 멈춰있음을 시시하고 있다.
15일 이전에 후계문제의 가닥을 잡고나면 바로 공천신청을 받고 중진의원 10명 정도로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이달말께 공천자를 확정,발표한다는 구상이다.
주목을 끌고 있는 현역의원의 공천탈락률은 당초 예상보다 떨어지는 30%이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점차 우세해지고 있다.
특히 김대표가 확정되든,안되든 각 계파의 집단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선 공천으로 달랠 수밖에 없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의 신당,5공의 움직임 등을 감안할때 현역우선 비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자칫 당선 가능성을 무시하고 이미지관리만을 위해 현역탈락률을 높이면 그만큼 위험부담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대신 정치불신 해소의 차원에서 수서·뇌물외유사건 관련자,무능,정책수행능력 부적격자를 가려내 「과시적」으로 탈락시킬 방침이다.
이미 노대통령은 『일부 의원의 비도덕적 행동으로 인해 정치권전체가 국민들로부터 불신을 크게 받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된다』며 도덕성을 공천의 우선기준으로 삼겠음을 시사했다.
민자당은 공천작업과 병행해 일선 조직보강에 주력,당원을 유권자 대비 7% 수준으로 유지할 생각으로 청년층과 신규 유권자 중심으로 영입작업을 벌여왔다.
특히 상대적으로 지지도가 낮은 청년계층을 파고들기 위해 중앙당은 대학생 간담회를 열고,지구당은 이달말까지 자원봉사대학생을 30명씩 확보,지구당별 청년위원회와 읍·면·동별 청년회(20명)의 조직을 서두르고 있다.
이와 함께 당공약특위(위원장 나웅배 정책의장)를 본격 가동해 「안정속의 개혁」을 기조로 21세기를 향한 국가경영철학과 통일에 대비한 비전을 담은 공약을 내놓을 계획이다.
특히 정책공약은 실현가능셩 자체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고 국민들의 피부에 닿는 구체적인 민생공약을 「엄선」해 내놓을 생각이며 일단 교통·주택문제에 초점을 맞춰 놓고 있다.<박보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