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빅2 경선 룰' 공방 … 이것이 4대 쟁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① 여론조사 반영 방식은?=경선 투표 인원을 20만 명(1인 1표)으로 늘릴 경우 선거인단 수는 대의원 4만 명(20%), 당원 6만 명(30%), 일반국민 6만 명(30%), 여론조사 4만 명(20%)이 된다. 실제로 투표를 하는 인원 16만 명(대의원+당원+일반국민)이 모두 경선에 참여한다면 여론조사 인원도 자동적으로 4만 명으로 결정되니 문제가 없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16만 명의 선거인단 중 상당수는 투표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 1위의 이점을 최대화하려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에서는 실 투표인원에 관계없이 '여론조사 4만 명'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표 측은 "실 투표인원이 16만 명에 미달하면 그에 맞춰 여론조사 인원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② 전국 순회냐, 동시 경선이냐?=박 전 대표 측은 전국 순회 경선을 선호한다. 수도권에서 열세이기 때문에 지방에서 차례로 북상하면서 박근혜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2002년 대선 때 민주당이 했던 방식이다. 하지만 이 전 시장 캠프에선 "하루를 잡아 전국 동시 경선을 치르는 게 낫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경선이 장기화되면서 벌어질지 모르는 이변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③ 후보 검증기구 어떻게 만드나?=박 전 대표 측은 당외인사도 대거 참여시켜 실효성 있는 후보 검증기구를 만들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 전 시장을 노려 검증 이슈를 증폭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 전 시장 측은 "검증기구 구성은 당의 결정에 맡기겠다"면서도 "당내 검증이 네거티브로 흘러선 곤란하다"고 맞서고 있다.

④ 범여권 지지층의 역선택 문제는?=이 전 시장 측은 전체의 30%를 차지하는 일반국민 경선단을 선출할 때 전화면접을 통해 무작위로 뽑는 방식을 선호한다. 그렇게 되면 일반국민 투표 결과가 여론조사와 비슷하게 될 확률이 높다. 하지만 박 전 대표 측은 "열린우리당 지지자가 경선에 참여하면 고의적으로 한나라당에 불리한 후보를 찍는, 역선택을 할 수 있으니 한나라당 지지층만 경선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