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도시|무공해 농산물 직거래|도농협동 운동 "알찬수확"|한살림공동체·YMCA·경실련등 앞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최근 도시와 농촌에 사는 사람들이 비료를 안주거나 덜주어 재배한 유기농산물의 직거래를 통해 공동체의식을 키우고 나아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드는데 한몫하게 되는 생활협동운동이 차츰 뿌리내리고 있다.
유기농산물의 도시와 농촌직거래는 공해에 찌든 도시인의 건강에 유기농산물이 좋을뿐 아니라 농촌사람들에게는 농산물의 고정판로 확보가 돼 안심하고 농사를 짖게하고 비료를 안쓰거나 덜쓰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농토의 산성화도 막는등 환경보호에도 한몫하고 있다.
한살림 공동체, 여성민우회, 부천YMCA, 정농생활협동조합등이 이 운동에 나서고 있다. 생활협동운동이 소비자협동 조합과 다른 점은 점포가 없고 농민들의 생산가를 우선 보장하기 때문에 산지직거래에도 불구하고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않은 유기농산물의 경우 대체로 시중 가격보다 10∼20% 비싸다는 점이다.
생활협동운동은 또 소비자협동조합처럼 생필품의 공동구입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유팩·수은전지등의 수거, 폐식용유를 이용해 무공해 빨래비누를 만들어 쓰는 교육등을 통해 자원재활용과 환경문제 개선에도 나서고 있다.
이같은 형태의 생활협동 운동이 최근 확산되고 있는 것은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의 여파로 지난해 말부터 일기 시작한 「우리농산물 먹기운동」과 올봄에 발생한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크게 고조됐기 때문.
실제로 생활협동운동은 88년4월 한살림공동체 출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어 여성민우회의 함께 가는 생협이 89년12월 등장했고, 지난해 3월에는 부천YMCA, 지난해 6월에는 경실련과 유기농단체인 정농회가 연합해 정농생활협동조합이 발족됐다.
이들 단체는 규모도 커 한살림공동체가 전국 6개 도시에 5천 가구, 함께가는 생협이 서울지역에 1천여가구, 부천YMCA가 1천5백여가구, 정농생협이 서울지역에 1천2백50가구의 회원을 각각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회원규모가 커지자 교통난으로 인해 시들기 쉬운 유기농산물들을 원활히 공급하고 지역공동체의식 유지를 위해 지역이 분할되는 운영경향이라고 정농생협의 이숭선전무이사(40)는 말한다.
올들어서도 경기도화성군남양면 수화감리교회에서 수원지역등 경기도지역주민 1백60가구를 회원으로 운영하는 한생명공동체가 생겨났고 8월부터는 서울YMCA, 지난달부터는 성남·진주YMCA가 각각 생활협동운동에 나섰다.
소비자협동조합 중앙회는 10월말현재 무점포생활협동 조합은 회원조합 13개를 포함, 전국에 30곳이 운영되고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8월부터 시작된 서울 YMCA의 생활협동운동 실무를 담당한 윤석규간사(31)는 『생활협동운동은 주부들이 가족건강에 이로운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유기농산물을 공급하는 것에서 출발하지만 더 나아가 농촌·이웃에 대한관심을 확대시키는 운동으로 승화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생활협동운동이 지향하는 공동체의식 회복이 산업화로 사라진 우리의 옛 전통을 살린다는 취지가 사람들에게 설득력을 더해감에 따라 생협운동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