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복 국정원장 "북 후계체제 이상 징후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이 26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열린 '2007년도 재외공관장 회의'에서 비공개 특강을 했다. 특강에는 이태식 주미대사와 김하중 주중대사 등 전 세계에 나가 있는 100여 명의 재외공관장이 참석했다. 국가정보기관의 최고 책임자가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특강한 것은 처음이다.

김 원장은 이날 특강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 체제와 북한 군부의 동향 등 최근 북한 정세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후계 체제와 관련, 그는 "아직 아무런 징후가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의 직위를 정남.정철.정운 등 세 아들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 계승하려는 움직임이나 우상화 작업이 전혀 포착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북한이 부자 권력 세습을 3대째 이어갈 수 없다는 판단 아래 군부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로 후계 구도의 방향을 잡았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도 "확인된 게 없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원장은 "북한의 경제난이 장기화하고 있고 서방 사조의 유입이 늘어나고 있지만 김 위원장이 권력을 확고하게 장악하고 있다"며 "권력층 내 파벌이 없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김 위원장의) 체제 통제력이 건재하다"고 말했다.

북한 군부의 동향과 관련해 김 원장은 "북한 군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연례적인 동계훈련을 하고 있다"며 "국경경비대를 대상으로 기강해이와 부정부패 등에 대한 검열을 했다"고 했다.

그는 특히 "북한 체제의 폐쇄성과 정보 브로커의 왜곡 전파 등이 결합되면서 북한의 쿠데타 진압설 및 정치범 수용소 대거 탈북설 등으로 증폭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일본의 일부 언론이 보도한 북한 쿠데타설이 '사실무근'이라는 설명인 셈이다.

국정원 관계자는 "공개 가능한 대북 정보는 정부 내에서 공유돼야 한다는 게 김 원장의 소신"이라며 "외교 현장의 선봉에 선 재외공관장에게 북한의 실상을 정확히 알리는 게 필요하다는 김 원장의 판단에 따라 특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