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대선후보 '6월 경선' 접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그래픽 크게보기

이명박 전 서울시장(左)이 26일 서울 염창동 한나라당 당사에서 사무처 직원들을 만나 웃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가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나라당 기독인회 조찬기도회에 참석했다. [사진=조용철·오종택 기자]

한나라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이 6월 중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다.

박근혜 전 대표는 26일 기자 간담회에서 '경선을 9월로 미루자는 입장이냐'는 질문을 받고 "그건 원칙에 안 맞는다. 우리는 원칙대로 간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캠프 내의 9월 경선 주장은)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다. 어제(25일) 개인 생각을 말하지 말라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현행 한나라당 당헌.당규는 대선 후보를 대선일(2007년 12월 19일) 180일 전인 6월 22일까지 확정토록 규정하고 있다.

그동안 박 전 대표 측은 "경선시기를 늦춰 9월로 하고 당원과 일반 국민이 반반씩 참여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고 말해 왔다. 이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 입장과는 거리가 있는 주장이다. 이 전 시장 쪽은 ▶경선 시기는 6월로 하고 ▶방식은 일반국민의 참여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 전 시장의 경선 준비위 대리인인 박형준 의원도 공식회의에서 여러 차례 6월 경선을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이날 박 전 대표가 사실상 '6월 경선'에 동의하고 나서면서 일단 시기를 둘러싼 이견은 사라지게 됐다. 최대 쟁점 중 하나가 해결된 셈이다.

?5 대 5 방식으로 결정될 가능성=박 전 대표는 왜 '6월 경선 카드'를 들고 나온 걸까.

현재 지지율을 감안할 때 경선을 일찍 치러서 박 전 대표가 이득이 될 게 없다는 것은 일반적인 평가다. 실제 박 전 대표 캠프 내에서는 최경환.유승민.김재원 의원 등이 개인 입장을 전제로 6월 이후로 경선을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해 왔다.

논란이 계속돼 온 경선 시기에 대해 박 전 대표가 교통 정리를 하고 나선 데는 무엇보다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소신 때문이란 게 주변의 얘기다. '원칙'은 박 전 대표의 트레이드 마크다. 그는 25일 대선 주자 간담회를 마치고 난 후 캠프 전체회의를 열어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따져선 안 된다.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여기에 반론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거의 없었다고 한다. 박 전 대표는 26일 기자들과 만나서도 "(6월이나 9월 중) 어떤 게 유리한지는 아무도 모른다. 불과 얼마 전만 해도 저쪽(이 전 시장을 지칭)에서 (경선 시기를) 바꾸자고 했었다"고 했다.

이런 결정의 바탕엔 "시기는 큰 변수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 전 시장 쪽에 시기를 양보하는 대신 경선 방식을 현행대로 치러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란 해석이다. 박 전 대표의 주장대로 현행 당헌.당규대로 6월 경선을 치르면 당원과 국민참여 비율 역시 현행(5 대 5) 방식대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국민참여 폭을 넓히자"(이 전 시장 측)거나 "오픈 프라이머리를 하자"(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게 된다는 얘기다. 박 전 대표 캠프의 한 관계자는 "국민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지지율 차이가 크지만 당원과 대의원 조사에선 박 전 대표가 결코 밀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캠프 일각에선 '검증론 공방'이 벌어진 설 연휴 이후 지지율의 변화가 생기고 있어 한두 달 내로 급격한 변화가 올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그래서 "검증이 계속될 경우 '이명박 대세론'이 수그러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주변에서 나오고 있다.

글=신용호.서승욱 기자<novae@joongang.co.kr>
사진=조용철 기자 <youngcho@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jongta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