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법 찾는 대치정국] 특검 再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무현 대통령 측근비리 특검 재의(再議)논란이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조순형 대표체제를 출범시킨 민주당이 재의 추진에 앞장서고 있다. 趙대표는 취임 일성으로 "특검을 재의에 부쳐 반드시 통과시키겠다"고 주장한 데 이어 30일엔 ▶선(先) 국회 정상화▶후(後) 특검법 논의를 내세우며 한나라당 설득에 나섰다. 趙대표의 이 같은 주장은 당내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평이다.

자민련도 찬성 의견이 우세하다. 김종필 총재는 "국회 의사를 존중하는 차원에서라도 특검법을 수용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자민련은 1일 의원총회를 열어 당론을 결정할 방침이다.

문제는 한나라당이다. 한나라당만 특검 재의 쪽으로 입장을 바꾸면 국회 통과는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야3당이 공조하면 열린우리당(47석)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재의 의결선(1백82석)을 훌쩍 넘게 될 전망이다. 야3당 의석 합계는 2백19석이다.

이와 관련, 단식 닷새째를 맞은 최병렬 대표는 이날 자신을 방문한 문희상 대통령 비서실장과 이 문제로 설전을 벌였다. 文실장은 "崔대표가 언제든지 연락을 주시면 대통령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선하겠다. 대통령도 대화를 마다하지 않고 있다"고 회동을 주선할 용의가 있음을 밝혔지만 崔대표는 "특검 거부권 행사와 재의 요구를 철회하지 않는 마당에 지금 만나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한나라당도 재의로 유턴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홍사덕 총무는 기자들과 만나 "자민련이 당론 찬성을 정하면 당에 돌아와 (재의 추진을)설득하겠다"고 말했다.

洪총무는 이날 아침 민주당의 김경재.김영환 상임중앙위원 등 신임 지도부에 전화를 걸어 "총무회담에서 민주당이 재의결을 제안하고 한나라당이 받아들이는 방식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