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비만은 성장에 장애 요인

중앙일보

입력

흔히 부모님들이 잘못 알고 있는 상식중의 하나가 ‘많이 먹어야 키가 큰다’이다. 과거엔 많이 먹는 것이 미덕이었고, 살집이 있는 통통한 외모가 보기 좋은 외모의 척도였다. 하지만 요즘에 와서는 많이 먹는 것보다 적당히 먹는 것이, 비만인 것보다 적절한 체형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훨씬 도움이 된다는 것이 상식이다.

실제로 성장장애를 일으키는 원인들도 시대와 환경이 바뀌어 감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음식 부족으로 인해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해 성장장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엔 반대로 지나친 열량 섭취와 적절치 못한 편식습관으로 인해 성장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를 흔히 볼수 있다.

그럼 소아비만은 어떤 이유로 성장에 장애 요인이 될까?
첫째, 체지방율이 높아지면 성장호르몬에 대한 호르몬 내성이 증가하게 된다.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이 성장을 일으키는 효과가 감소하게 되는것. 같은 양의 성장호르몬이 분비된다고 가정한다면 소아비만환자는 표준체중의 소아에 비해 키가 작을 가능성이 더 높다.

둘째 성조숙증의 원인이 된다. 체지방율의 증가는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2차 성징이 조기 발현되며 그 결과 뼈의 성장판이 일찍 닫히게 되어 성장이 가능한 시기를 짧게 만들 수 있다.

셋째 소아비만 환자들은 운동량이 현저히 적은 경우가 많아 성장판에 물리적 자극이 부족하고, 대부분 페스트 푸드나 당도가 높은 고열량음식을 편식하므로 열량은 과잉 섭취하지만 기타 무기질과 영양소들은 부족한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또한 부가적으로 성장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소아비만은 단순히 성장장애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소아비만은 성인형 비만과 달리 지방세포의 용적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세포의 숫자 자체가 증가하므로 성인형 비만에 비해 다이어트가 훨씬 어렵다. 또한 어릴 때 잘못 길들여진 식습관이 평생 지속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성인형 비만으로 이어진다거나 후일 성인병의 유병률 또한 표준체형의 아이들과 비교할 때 매우 높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이러한 소아비만을 치료하고 성장장애를 예방하는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첫째 잘못된 식습관과 부족한 운동습관을 최대한 빨리 개선해 주시는 것이 좋다. 아이들의 키는 크는 시기가 정해져 있다. 남아의 경우는 변성기 이전에 가장 활발한 성장률을 보이다 17세 전후로 정상적인 성장이 거의 멈추게 되고, 여아의 경우는 초경 후 대략 2년 정도 서서히 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정상적인 성장이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성장판이 닫히게 되면 성장을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또래에 비해 키가 작을 경우 일찍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교정해주셔야 한다. 특히 소아비만의 경우는 사춘기가 일찍 시작하고 성장이 멈추는 시기가 더 앞당겨 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초등학교 4~5학년 또래에 비해서 키가 크고 체격이 크다고 생각해 이러한 교정을 소홀히 하면 일찍 시작되는 사춘기와 그로인한 성장판 조기 폐쇄로 결국 2~3년 후에는 또래에 비해 작고 뚱뚱한 아이로 남는 경우가 있다.

부모님들이 마음 약해 하는 부분이 아이들이 먹고 싶어 한다는 이유로 식이조절을 바르게 지도하지 못하고 달라는데로 음식을 주는 경우다. 또 크면 살이 키로 간다는데 자라면서 젖살이 빠지고 키가 쑥쑥 클 것이라 생각해 방치하다가 성장이 끝나가는 시점이 되어서야 서두르는 경우가 많다.

반드시 섭취한 음식의 열량만큼을 운동으로 소비할 수 있도록 운동습관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고열량음식에 대한 편식을 자제하고 모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아이들의 경우 음식에 대한 유혹을 이기기가 성인에 비해 훨씬 어렵기 때문에 아이들의 관심을 돌릴 수 있는 놀이문화와 취미생활을 가지도록 도와주는 것도 필요하다. 노력만으로 음식조절과 생활습관의 개선이 힘든 경우에는 일찍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를 시작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맛있고 편리한 먹거리가 많고, 활동의 필요성이 점점 줄어드는 환경 속에서 아이에게 좋은 운동습관과 식사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아이들 평생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도움말=생명마루한의원 문세인 원장 http://www.smmr.co.kr, http://www.kimaru.co.kr/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