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평소에도 "교육대통령 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교육정책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오종택 기자]

31일 발표한 '새 희망을 위한 교육혁명 구상'은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세 번째 정책이다.

지난해 말 중국에서 밝힌 '한.중 열차페리 연결'과 올 들어 공론화에 힘쓰고 있는 '산업단지 회생 프로젝트'에 이은 것이다. 경쟁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한반도 내륙운하' '국제 과학비즈니스 도시'정책을 밝혔다. 그래서 이번 발표는 '지지율에서는 밀리지만 정책경쟁에서는 앞서 가겠다'는 박 전 대표의 의지가 실린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박 전 대표는 평소 "교육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해왔다. 그만큼 교육문제에 관심이 많다. 관심을 정책으로 엮어내는 데는 시간과 전문적 식견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박 전 대표는 지난해 말부터 전문가 집단과 꾸준히 접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강태중(중앙대).김성렬(경남대) 교수 등 교육학과 교수들과 전직 대학총장 등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꾸렸다. 경선 캠프에서 기획을 맡은 최경환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이들과 토론을 거치면서 '교육이 최고의 복지'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전했다.

박 전 대표 측은 정책구상의 실현에 필요한 재원을 ▶교육예산 증액 ▶교육기금 조성 ▶복지예산 일부 전환 등을 통해 조달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최 의원은 "캠프 내에서는 국민총생산(GNP)의 몇 %를 교육예산으로 할지,

어떤 방법으로 기금을 모을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공약으로 다듬어진 단계가 아니어서 이번엔 발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올 초 정책개발의 5대 목표를 제시하면서 일자리.주택.노후.안보문제와 함께 교육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글=남궁욱 기자<periodista@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jongta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