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통 자문위원 비율 진보가 50%는 돼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헌법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의 김상근(사진) 수석부의장이 23일 "민주평화통일은 진보적 가치이고 전향적.미래적 가치이지, 보수적 가치는 아니다"라며 7월 출범할 13기 자문위원 구성에 이 같은 생각을 반영할 뜻을 밝혔다. 민주평통 의장은 대통령이다.

<관계기사 6면>

김 부의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국민의 진보.보수.중도 성향은 40 대 40 대 20이지만 민주평통 자문위원을 배치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며 "진보적.미래지향적 가치를 담보할 수 있게 (진보 성향 위원의 비율을) 50%는 가져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의장의 발언은 1만7000여명의 민주평통 자문위원을 특정 성향 기준에 맞춰 배분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 이를 둘러싼 논란이 일 전망이다. 김 부의장은 2년 전 구성된 현 12기 민주평통과 관련, "지자체장들이 상당히 소외됐다"며 "이번에는 그런 분들의 추천 비율도 높이고 해서 민주평통에 참여하게 만들겠다"며 자치단체장들을 자문위원으로 적극 끌어들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이재정(현 통일부 장관) 수석부의장은 인선 기준과 추천 방식을 변경해 자문위원의 75%를 무더기로 물갈이했다.

김 부의장은 "그때 이른바 구여권 인사 일색이었던 민주평통의 컬러가 다양해졌다"며 "그러나 '신여권이 독점하려는 거냐'라거나 '정치적 편향성을 갖는 게 아니냐'하는 의혹을 사는 역효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민주평통 관계자는 "2월 8일 운영위원회에서 13기 자문위원 구성 방침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유기준 대변인은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같은 사람은 이념에서 탈피한 상태에서 통일을 위해 일해야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문제"라며 "우리 사회가 이념 갈등이 많은데 이번 발언은 오히려 이를 조장하는 것으로 대선을 겨냥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영종.신용호 기자

◆김상근 수석부의장=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 상임위원장을 지낸 대표적인 재야 종교인. 68세다. DJ정부 때 '제2건국 범국민추진위' 상임위원장을 맡았고 최근까지 6월 민주항쟁계승사업회 대표이사장을 맡았다. 전임자인 이재정 통일부 장관과는 막역한 사이로, 그의 천거로 지난달 15일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자리에 올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