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출판단지 특혜분양 논란…축소 건립될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일산출판단지」규모가 축소될 전망이다. 출판단지 협동조합과 한국토지개발공사는 단지의 면적·분양가격·분양방식 등을 싸고 심한 이견을 보이고 있다.
토개공은 최근 출판단지조합의 분양 희망 조건에 문제가 많아 특혜분양이란 논란이 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일산 신도시 입주를 희망하는 다른 유사업종과 동등하게, 공개경쟁입찰 조건을 조금 완화하는 선에서 분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조합측은 13일 『출판단지는 처음부터 일산신도시에 적극 유치하기로 당국이 계획했던 만큼 조성원가로 분양하더라도 특혜분양이 아니다』고 반박하는 한편 『토개공의 새 분양지침에 맞춰 분양 희망조건을 완화할 수도 있다』며 조합·토개공·설계회사 3자의 협의를 제안했다.
출판단지 협동조합 이기웅 이사장은 『도서유통 현대화사업에 필요한 부지만이라도 조성원가로 분양해 준다면 다른 용도의 당은 공개입찰해도 반대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토개공은 전체 신도시 면적의 50%에 달하는 공원·도로 용지는 시·도에 무상으로, 약 25%는 원주민을 위한 임대주택용지로 조성원가 이하로 제공하고, 5∼10%의 업무 또는 상업용지를 토지수용가격의 20배 정도를 받고 팔아 전체 신도시 조성비용을 충당하기 때문에 조합측이 요구하는 엄청난 당을 모두 조성원가로 줄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토개공은 이밖에도 인쇄소 등 공해배출업소와 도서관·박물관 등 문화시설 및 복지시설·교육연구시설 등은 업무지역에 들어서기에 알맞은 업종이 아니며 엔지니어링·자동차 등 10여개 업종이 단지화를 이유로 특혜분양을 요구하고 있으나 특정부지에 대한 수의 계약은 불가능하다는 이유 등을 들었다.
한편 조합측은 『특혜분양의 관례를 만들지 않으려는 토개공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전제, 『출판단지의 핵심사업이 도서출판 유통의 현대화에 있고, 이 사업은 정부도 적극 추진해 왔으며 우리출판계의 숙원사업인 만큼 마땅히 당국의 협조가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요컨대 조합·문학부·건설부 등은 우려 출판산업의 현대화란 명분에 집착한 나머지, 합법적인 절차를 가볍게 보는 경향이고 반면 토개공은 분양가·분양방법 등을 합법적 절차에 따라 실시, 특혜분양이란 오해의 여지를 원천적으로 막겠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출판업계는 그 동안 출판산업의 현대화를 위해 출판단지 조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출판사-인쇄소-제본소-유통기구 등을 한곳에 모아 공간적·기능적 유대를 강화하는 한편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취지아래 88년 초부터 일산 신도시 업무지역 2개 블록 6만여평에 출판단지 조성을 추진해 왔었다.
그러나 다른 신도시에 비해 업무지역이 상대적으로 좁은 일산에 6백여개의 출판사·인쇄시설·종합유통센터·도서관·박물관·각종 연구교육시설 등을 갖춘 대규모 출판단지를 조성한다는 것은 당초부터 과욕이라는 평가가 있었던 만큼 토개공과 협의, 합리적으로 규모를 축소하는 게 바람직할 것 같다. <최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