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무관리 원칙 없어 이러다간 시장 심판 받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현대차 노조는 1987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94년만 빼고 해마다 파업했다. 불법파업도 많았다. 비난 여론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현대차의 노사관계는 개선의 기미가 안 보인다. 한국노총 이용득(사진) 위원장은 17일 본지 기자와 만나 "현대차는 어느 순간 시장에서 심판받고 무너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현대차 노사가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고 파업이 끝났다.

"예상했던 일이다. 현대차에는 노무관리라는 게 없다. 강압적으로 몰아붙이거나 아니면 뒷돈 주고 달래는 식이다. 문제가 생기면 노무관리팀부터 잘라 버려 경험 있는 사람도 없다. 해마다 파업이 벌어지지만 회사가 장기 대책 한번 세우지 않고 있다."

-'이번엔 원칙대로 하라'는 여론이 많았는데.

"현대차는 원칙이 없다. 전근대적 노사관계를 개선하려면 한 가지 방법밖에 없다. '안 고치면 망한다'는 자세로 달려드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는 안 그랬다. 아마 현대차 경영진은 여론의 성원에 오히려 당황했을 것이다. 대충 성과금 주고 끝내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는데 여론이 '원칙을 보이라'고 요구하니 오죽했겠나. 현대차가 눈앞의 이익만 따지고 장기적인 관점이 없는데 노사문화가 바뀌겠나."

-현대차에 대한 이미지도 나빠질 텐데.

"현대는 어느 순간 닛산 자동차처럼 무너질 수 있다. 그 시점은 시장에서 심판하려 들 때다. 제품의 질도 문제지만 '저런 노사관계를 가진 기업에 제재를 해야 한다'는 여론이 생겨나는 시점이 올 것이다. 현대차 자체가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는 말이다."

17일 울산 현대차 본관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노조 측이 배포한 유인물.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량이 모두 목표치에 미달했지만 성과금 300%가 지급됐다는 내용이다. 성과금 50%를 지급하지 못하겠다며 완강하게 버티는 듯하던 회사 측은 결국 관행대로 노조가 원하는 성과금을 ‘생산 목표 달성 격려금’으로 명목만 바꿔 지급하는 데 합의했다. [울산=조문규 기자]

-국민경제가 타격을 입을 텐데.

"현대차 사태가 터질 때마다 울산 시민들은 지역경제를 걱정해 왔다. 하지만 현대차가 외국자본에 넘어간다고 가정해 보자. 공장은 그대로 돌아간다. 일자리는 그대로거나 아니면 좀 늘어날 것이다. 그러면 (시민들이) 지역경제 걱정을 하겠나. 그런 게 소비자 정서다. 대우차가 GM에 넘어간 뒤 어떻게 됐나. 오히려 해고자가 복직되고, 지역경제는 더 안정됐다."

-소비자와 시장의 심판으로 현대차의 노사문화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인가.

"현대차의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제 현대차 사지 말자'는 사람이 계속 늘어나는데 노사만 그걸 모른다. 시장에서의 심판만이 현대차의 노사관계를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현대처럼 전근대적이고 후진적인 노사관계에선 반복적으로 분규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글=김기찬 기자<wolsu@joongang.co.kr>
사진=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