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광역선거 본격참여/노총 38명 입후보 계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서노협 1명… 전노협차원 참여도 논의
한국 노총·서노협등 일부 재야노동단체들이 오는 20일 실시될 광역의회선거에 출마할 입후보자를 확정짓고 적극 지원체제에 들어가 노동계도 선거바람에 휩싸이게 됐다.
「정치참여」를 공식선언한후 지난번 기초의회 선거때 64명을 출마시켜 26명이 당선된 노총은 1일 이번 광역의회 선거에 모두 38명을 내보내 최소한 15명을 당선시킨다는 계획으로 전국 71개 지역·산별노조의 정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입후보지역 노조원들에 대한 정치교육·모금활동과 함께 입후보자에 대한 홍보·선전물 제작지원등 조직적인 선거지원활동에 들어갔다.
또 서노협도 노동자 민중의 정치세력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아래 한국 린나이노조 사무국장 이현희씨(30)를 서울 구로구에 입후보시켰으며 대전·마산·창원·울산등지의 지역운동권에서도 곧 후보자를 낼 것으로 알려져있다.
광역의회 선거에 대해 아직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전노협은 하부조직의 이같은 발빠른 움직임에 대해 어떠한 형태로든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며 곧 중앙위를 열어 전노협후보를 내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노총 발표에 따르면 입후보자 38명의 입후보 형태는 ▲민주당공천 8명 ▲신민당 공천 5명 ▲무소속 25명으로 민자당공천이 하나도 없는 것이 특징이며,신분별로는 ▲단위노조 현직위원장 19명 ▲노총지역본부 및 산별노련 지부장·사무국장·운영위원 12명 ▲기타 7명으로 되어있다.
노동단체들의 이같은 광역의회 진출 움직임은 노조의 정치활동금지를 규정한 노동조합법 12조1항에 위배되는 것으로 정당의 개입이 금지되었던 기초의회 선거때와는 달리 노동부·사용자단체등과 심각한 마찰을 빚을 것이 예상되고 있다.
노동부와 사용자단체 등은 『출마자가 정당의 공천을 받거나 특정 노동단체의 조직적 지원을 받는 것은 불법』이라며 『이에 대한 제재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