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놀이문화」활성화 시급"|「한국 청소년 기본계획」수립 공청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한국 청소년들의 심신을 고르게 발달시키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건전한 놀이문화가 정착되고 수련활동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이는 학교교과내용과 연결되어 내신성적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지난 9일 한국 청소년연구원주관의 공청회에서 나와 관심을 모은다.
『「한국청소년기본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란 주제로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이 공청회에서는 서울 시내 중·고생의 여가시간은 휴일을 포함해 하루 2.57 시간인데 그중 70%인 2시간을 TV시청으로 보낸다는 조사결과도 밝혀졌다(서울 시내 중·고생 24개로 6백명 대상) .
이날 공청회에서 논의된「한국 청소년기본계획」의 핵심은 1천3백60만 청소년들에게 윤택한 삶을 누리고 건전한 놀이문화정착을 위해 수련활동의 여건을 조성해주기 위한 효율적 방안모색이었다. 그러나 현행 입시위주교육 제도하에서는 제도적인 뒷받침 없이 청소년들이 수련활동에 참여하기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련활동을 마음놓고 할 수 있는 여건조성을 위해서는 94년부터 시행되는 대학입시제도에서 40%로 향상 조정된 내신반영비율 중 10%의 학생들의 교과 외 활동을 수련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청소년개발원은 또 학생들이 수련활동에 나설 수련거리(프로그램)를 개발하여 시범운영 한 뒤 이를 확대실시 할 계획이다.
청소년들이 뛰놀 청소년 수련터전은 현재 전용시설 2백23개소와 이용시설을 합쳐 모두 3천60개소로 청소년 4건1백80명당 1개소다.
5백40명당 1개소인 일본과는 비교할 수 없이 빈약한 실정. 이렇게 청소년시설의 절대 부족으로 만화가게·전자오락실·카페가 청소년들의 중요 여가활동공간이 돼 버렸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청소년연구원은 앞으로 10년에 걸쳐 건립이 예정된 6천1백8개소의 수련터전이 완결된다 하더라도 최소한으로 필요한 1만4천7백82개소의 60%가 조금 넘는 수준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청소년의 수련활동을 지도할 청소년 전문지도자의 양성도 시급한데, 지도자의 합리적인 자격기준을 마련하고 청소년 관계시설 및 기관이 유 자격 활동지도자를 임용토록 의무화해야 한다고 한국청소년연구원 최윤진 박사는 주장했다.
자원 봉사자·현직 교사 ·근로청소년 지도자 등이 일정한 지도자교육을 받게 한 후 청소년 전문지도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를 위한 수당자급·인사고과반영 등의 혜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고창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