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파업 강력대응”의지 반영/대우자 부평공장 휴업결정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국내 노조활동의 실질적 핵역할/사태수습에 도움될지는 미지수
대우자동차 부평공장의 휴업결정은 「춘투」시점에서 국내 노조활동의 「핵」을 이루고 있는 이 회사 노조가 불법시위·조업거부를 지속한데 대한 맞불전략이라고 볼 수 있으나 내면적으론 불법파업에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대우자동차 부평공장 노조는 인천지역노조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고 지난 2월 결성된 인천지역 공동투쟁본부에 적극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분규중이던 대우조선노조지원을 위한 대기업연대회의에도 동참하는 등 실질적으로 노동계를 이끌어왔다.
이 때문에 연대회의에 참석한 이은구 노조위원장(31)을 즉각 구속한 것은 연초부터 정부가 산업평화·사회안정을 위해 불법행동을 엄단하겠다고 천명했던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이며 이위원장 구속에 항의하는 시위·농성을 주도한 노조위원장권한대행 최용주씨(30)등 노조간부 8명을 강제연행,구속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되고 있다.
정부는 대우자동차 분규에서 물러설 경우 그 영향이 전 노동계로 번져 모처럼 다져놓은 노사안정이 다시 흔들릴 것을 우려하는 입장이다.
대우측은 그러나 회사경영에 치명적인 휴업결정이 「자체판단」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회사측은 근로자들의 불법파업으로 지난 3월 이미 3천2백대(2백40억원규모)의 생산차질을 빚은데 이어 이번 사태가 발생된 8일이후 가동률 20% 미만으로 5천여대의 생산차질을 빚어 매출손실 3백75억원을 초래했고 향후 내수부문 7천∼8천대,수출부문 3천대이상의 차질이 올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85년이래 해마다 한두차례씩 분규를 겪어온 이 공장은 그러나 노사간 대화가 전면 단절되지는 않아 8일부터 91년도 임금교섭을 위한 노사회의가 네차례나 있었다.
여기에서 회사측은 선조업정상화·후교섭을 주장한데 반해 노조측은 구속자석방 선결,위원장 석방투쟁기간 유급처리,회사명의의 경찰사내진입규탄성명 신문광고게재 등을 내세워 타협점을 찾지 못했던 것.
결국 실질적인 휴업상황이 지속되고 노조측이 대정부투쟁에서 대사회투쟁으로 전환을 기도하고 노조에 대한 설득과 양보에 한계점을 드러내 결단을 내렸다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이번 휴업이 사태수습에 도움이 될는지는 미지수다.
또 인천지역 공동투쟁본부·연대회의 등의 움직임이 있어 사태가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측의 의지와 노조의 반발이 맞닥뜨려져 내려진 대우자동차 부평공장 휴업사태는 그 진전상황이 올해 노사문제를 판가름하는 초미의 관심사로 등장하게된 셈이다.<인천=김정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