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후보지 탐방 ③] 공주 장기지구 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로운 행정 수도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충남 공주 장기지구는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였다. 최근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투기세력에 대한 검찰의 수사 탓인지 부동산 거래는 극도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주민들은 지역 발전을 위해 이 지역이 행정수도로 선정되기를 내심 바라고 있었다.

◇“전형적인 농촌지역”=공주시 장기면 대교·도계·평기리 일대다. 전형적인 농촌 지역으로 논과 야산 등으로 현성돼 있다. 인근인 대전과 공주, 조치원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1978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 신 도시 이전의 최적 후보지로 거론된 적이 있다. 때문에 충청권으로 행정수도가 이전할 경우 검토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호남고속도로 유성인터체인지로부터 승용차로 10여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서울에서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청주를 통해 들어오면 2시간이면 충분하다.대전 및 대덕벨리로부터 20분 거리로,인근에 청남대, 현충원, 계룡대 등이 자리잡고 있다.금강을 끼고 있어 도시 면모를 갖추기에는 적격이라는 의견도 많다.

▶ 공주시 장기면 일대에 경지 정리사업이 한창이다.

하지만 오송· 오창지구나 아산신도시에 비해 도로 및 철도 등 인프라가 직접적으로 접해 있지 않다는 약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들은 신도시로 다시 거론되고 있는데 대해 내심 기대를 하면서도 가능성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고 있는 상태다.

◇“부동산 투기로 오히려 피해 예상”=올해초 필지 분할신청이 지난해에 비해 30∼40%까지 증가하는 등 전형적인 부동산 투기가 이뤄졌다고 한다.공주 장기지역의 부동산시세는 임야의 경우 평당 3만~5만원 수준이며 전답은 5만~10만원 수준이다.대지는 평당 20만~30만원이다.

부동산 업자 金모씨는 “한때 신도시로 거론되면서 땅값이 술렁거리며,일부 지역은 땅값이 2∼3배 가량 급등한 적도 있다”면서 “하지만 검찰의 수사가 이뤄지면서 거래가 거의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반적으로 거래 자체도 없고 문의도 없어,비싼 값에 땅을 산 외지인들은 피해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도로변의 경우 평당 50만~70만원 수준의 매물도 있지만 호가가 부풀려진 상태라는 것이다.

지역주민 申모씨는 “서울에 사는 친척이 지난해 말 평당 80만원 하던 도로변 대지를 올 여름 평당 1백30만원에 매입했는데,오히려 땅값이 내릴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장기면 관계자는 “신도시 형성에 대한 환상으로 무턱대고 부동산에 투자할 경우 낭패를 볼 수 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주민들은 과거 공주장기지구에 수도 이전이 계획됐었다는 점을 들어 공주 장기지역으로 행정수도가 이전돼야 한다는 속내를 강하게 내비치고 있다.

◇기타 지역=충남 연기군 남면·금남면 일대는 금강에 근접한 평야지대로,지형지세가 서울가 흡사해 후보지로 꼽힐 만 하다. 또 대전 서남부지역의 논산 계룡지구는 대전권 마지막 미개발지로,대전청사와 3군 본부에서 가깝고 기반시설이 갖춰져 있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연구단이 제시한 ‘원거리 독립형 도시’의 원칙에서 보면 후보지로 선정될 지 여부는 미지수다.

박재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