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중견기업' 키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산업의 허리'인 중견기업 키우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창업에서 중소기업을 거쳐 중견기업으로까진 성장했지만 대기업으로 발돋움하기가 어렵다'는 업계의 고충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중견기업 간의 인수합병(M&A)에 대한 심사 기준을 완화해 몸집 불리기를 촉진하는 동시에, M&A에 따른 주식 양도소득의 과세특례도 적용해 주기로 했다. 예컨대 삼익악기와 영창악기의 M&A를 시장집중이나 독점만 놓고 따지다 불허했던 사례를 가급적 막자는 취지다.

산업자원부(장관 정세균)는 18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산업발전심의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견기업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산자부는 연말까지 관계부처 협의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뒤 내년 시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르면 현재 벤처기업에만 허용되는 각종 M&A 특례가 중견기업으로 확대 적용된다. 적용될 특례엔 ▶M&A로 양도하는 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을 해당 주식을 다시 처분할 때까지 미뤄주고 ▶주식교환이나 합병 절차를 간소화해 주는 것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산자부는 또 중견기업 간 M&A 심사 때 시장 집중도나 독점 등 공정거래 차원의 기준 이외에도 수출증대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공정위와 협의해 제도를 개선키로 했다.

또 우수 중소기업들을 중견기업으로 키워 나가기 위해 ▶석.박사 등 고급인력을 채용할 때 인건비의 일부를 1인당 연간 1800만원까지 정부가 보조해 주고 ▶디자인.브랜드.연구개발 등 3대 취약 분야를 직접 지원키로 했다.

이 밖에 중장기 과제로 중견기업과 일부 겹치는 중소기업의 범위를 재조정해 중견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늘어나도록 하는 방안과 현행 중소기업 졸업제도(3년 유예)에 대한 개선방안도 본격 논의키로 했다.

또 중견기업의 인력 양성을 위해선 '글로벌 중견기업 기술경영아카데미'와 '중견기업 전문인력 양성 컨소시엄'을 개설하고, '클린 중견기업 인증제'를 도입해 투명경영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산자부는 밝혔다. 현재 중견기업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5%(약 700개)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우리의 산업구조는 허리가 취약한 '호리병 형'이라고 지적돼 왔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