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고간 그의 영혼 산에 피어날 지어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눈속에 묻힌 비원에는 발자국이 없다. 시인은 대리석처럼 침묵하고 후인의 삶을 웅변으로 다스린다. 아! 시인의 마음을 느끼는자 시공을 초월하여 함께 살아가고 있다 울고 간 그의 영혼 산에 언덕에 피어날 지어이』(「산에 언덕에」전문).
작년 섬강버스 추락사고로 잃은 처자를 찾아 목 매어 저승으로 떠난 장재인씨의 유고시집 『그대여 여기는 지금 어디쯤인가』가 출간됐다(평밭간).
l959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장씨는 아내와 같이 공주사대를 졸업했다.
졸업 후 이들은 서울 덕수상고와 강원도 홍천 내면고에 각각 재직, 주말부부가 됐다.
휴일이면 서울과 홍천을 번갈아 오가던 차 90년 9월 1일 장씨는 자신을 찾아 서울로 오던 아내와 외아들을 버스 추락사고로 잃었다.
그는 장마로 불어난 강물에 떠내려가 바다까지 간 아내와 아들의 시신을 보름만에야 건져낸 직후인 작년 9월15일 『처자를 찾아 이제는 하늘로 떠나겠다』는 유서와 함께 목매 자살, 그 순애보로·많은 사람의 가슴을 울렸다(본보 9월16일자 15면 보도).
장씨의 친구, 선후배들이 장씨의 순정한 삶을 추모하기위해 그의 일기 등에서 42편의 시를 추려 묶은 이 유고시집에는 이승에서 맺은 부부의 연, 부자의 연을 저승까지 고스란히 가지고가 세식구 나란히 한 봉분아래 묻히게 한 장씨의 사랑과 삶이 곳곳에서 드러난다.
1980년 학생회장으로서 공주사대의 거의 모든 집회와 농성을 주도하던 장씨는 구속되어 1년남짓의 영어생활과 군복무로 84년 복학, 아내와 만났다.
죽을때까지 단칸 전세방에서 살 정도로 가난한 장씨를 사랑한 아내에 대한 애처로움과 현실 참여사이의 갈등이 시편 곳곳에 드러 난다.
그는 아내와 아들을 삼킨 섬강 둑에서 『어둠속에서 이 불빛을 보고 살아 헤엄쳐 나올지도 모른다』며 보름동안 모닥불을 피우고 기다리다 시신을 확인한 후 같이 저승으로 갔다.
주말부부를 만드는 이 척박한 현실, 그래도 이글이글 살려는 삶에 대한열망을 떨구고 사랑을 찾아가 버린 그 자체가 우주에 충만한 시 아니겠는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