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인구41만3천4백3명 는다|국민 평균연령 29.5세로 노령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91년, 오늘을 사는 우리나라 인구는 과연 몇 명일까. 한해동안 얼마나 태어나고 죽는 것일까.
통계청의 올해 인구추계에 따르면 새해 정월초하루의 인구는 4천3백만8백3명이다.
흔히 그 해의 인구로 추산되는 7월1일자 인구(연중한가운데란 뜻의 연앙인구)는 4천3백20만6천6백88명이다. 90년의 연앙인구와 비교한다면 1년 사이에 41만4천1백76명이 늘어난다는 이야기다.
이 인구는 올해 마지막날인 12월31일에는 4천3백41만4천2백6명이 된다.
통계청은 이 같은 올해 인구추이를 기초인구(센서스결과)에 인구변동의 기본적 요인인 출생·사망·이민 등의 3요소를 추정해서 더하고 빼는 방법으로 계산한다.
이 인구추계대로라면 올해1년 사이 41만3건4백3명의인구가 늘어나는 셈이다. 이민을 가는 사람들을 빼면 올해 중으로 약67만5천명이 태어나고 25만5천명이 사망할 것으로 통계청은 보고있다.
하루평균 1천8백49명이 태어나고 6백99명이 죽는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에 따른 인구증가율은 90년에 비해 0.01%포인트 높아진 0.98%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출산율은 급격하게 낮아졌다. 한 여성이 결혼여부에 관계없이 아이를 가질수 있는 기간 (가임 기간)에 평균 몇 명의 자녀를 낳는가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을 볼 때 60년 6명이었던 것이 90년에는 1.6명으로 뚝 떨어졌다(그림참조). 불과 30년 만에 출산율이 선진국 수준이 된 것이다.
평균수명 또한 선진국 수준으로 계속 높아간다.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남자의 경우 매해0.5세정도, 여자의 경우0.25세정도 늘어난다고 보고 계산하면 91년의 평균수명은 남자가 67.9세, 여자가 75.6세이며 평균치는 71.6세가 된다고 통계청이 예측했다.
이렇게 다들 오래 사니까 전체인구의 평균연령 또한 높아간다. 인구구조가 노령화된다는 이야기다.
통계청은 91년의 평균연령을 29.5세정도로 거의 30세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있다. 88년 현재 전 세계 평균치가 24.2세, 선진국이 33.7세, 후진 및 개발도상국이 22세인 것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인구도 상당히 선진국형의 노령화추세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평균연령은 70년까지만 해도 23.6세, 80년에는 26세로 그만큼 젊고 힘에 넘치는 경제활동인구가 많아 빠른 경제성장의 밑거름이 돼봤다.
올 한해동안 결혼해서 새 가정을 꾸리는 경우는 약 42만 쌍으로 추정된다. 90년에는 41만5천쌍 정도였다. 반면 결혼생활이 파경을 맞아 이혼하게 되는 경우도 올해 4만5천 쌍에 이를 것으로 통계청은 추정했다.
이같이 결혼과 함께 새살림을 차리는 경우 등 전반적인 핵가족화추세에 따라 가구증가율은 인구증가율을 훨씬 앞지른다. 91년7월1일 현재의 연앙 가구 수는 1천1백62만2천7백98가구로 추정된다.90년 연앙 가구 1천1백62만4천4백16가구에 비해 1년 사이 32만8천3백82가구가 늘어나리란 이야기다.
따라서 인구증가율은 O.98%정도인데 가구증가율은2.9%로 훨씬 높다. 가구 당 평균인원도 90년의 3.79명에서 91년에는 3.72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전체인구가 늘어나므로 인구밀도 또한 높아질 수밖에 없다.
90년의 평방km당 인구밀도가 4백31명이었는데 올해는4백35명 정도로 늘어나게 된다. 그만큼 더욱 북적거리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구는 또 계속 도시로도시로 몰린다.
통계청은 91년의 전체인구 중 도시거주인구비율인 도시화 율이 74.8%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도시화율은 80년만해도 63.7%,90년에는 73.9%였다.
인구문제전문가들은 최근 몇년사이 전체인구증가율이 약간 높아지는 것은 출산율은 계속 낮아지거나 비슷한데도6·25이후 60년대 초까지의 베이비 붐 시대에 태어났던 많은 여성들이 현재 3O대로 가임 여성의 절대수가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있다.
통계청에서는 앞으로 출산율이 계속 낮아져 불과 30년 후인 2020년의 5천19만3천명을 정점으로 인구증가가 정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인구정책은 그동안 퍼온 산아제한 등 가족계획사업에 의한 인구증가억제 차원에서 벗어나 노동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건강·교육 등 인구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바꿔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