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만 개전으로 사태악화 되면 「유류배급제」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종합대책 곧 마련,유흥업영업·TV방영 단축도
정부는 5일 내달께 페르시아만에 1백명정도의 군의료진을 파견키로 하고 오는 24일 열리는 임시국회에 파견동의안을 제출키로 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페르시아만에서 전쟁이 발발할지 여부와 상관없이 미국측의 협조요청에 따라 지난해 군의료진 파견을 합의했었다』고 밝히고 『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정부와 사우디아라비아파견 군의료진의 지위 및 지원협정 체결을 협의중』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미국측이 전투병력파견을 요청한사실은 없으며 정부도 이를 고려한바 없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같은 결정을 내림과 함께 전쟁발발가능성에 대비,석유수급·전쟁예상지역 교민철수 대책을 마련키로 하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정부는 유엔이 통고한 이라크군의 철수시한이 오는 15일로 다가오고 미­이라크간의 협상도 불투명해 전쟁발발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오는 9일까지 종합적인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5일 아침 삼청동 안가에서 이승윤 부총리,서동권 안기부장,정해창 청와대 비서실장 및 외무·국방·상공·동자·건설부 등 관계장관들이 참석하는 페만 특별대책회의(위원장 이승윤 부총리)를 열고 페만개전에 대비한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선 오는 10일까지 이라크 잔류교민 1백7명과 쿠웨이트 잔류교민 등 총2백6명을 철수시키고,인접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오만·아랍에미리트·예멘 등에 거주하는 우리 교민 5천명은 상황진전을 보아가며 철수 또는 철수권유 문제를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또 페르시아만 사태가 전쟁으로 악화될 경우에 대비,원유비축을 늘리고 도입선을 다변화하는 한편 최악의 유사시에는 유류배급제를 실시하는 방안까지도 검토키로 했다.
특히 사태악화로 유류수급에 차질이 있을 경우 우선 유흥업소 영업시간 및 TV방영시간 단축등의 긴급조치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며 전쟁발발여부를 봐가며 국내유가의 추가인상시기도 결정키로 했다.
이와 함께 페만 인접국 및 다국적지원(총 2억2천만달러규모)은 현지조사를 마치고 귀국한 이해순 외무부 아중동국장의 보고를 토대로 세부계획을 짜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