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위 공무원 대대적 군살빼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중국 정부가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남는 인력과 물자 낭비를 막자는 취지다. 내년 가을 제17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있을 대대적인 인사를 앞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고위 공무원 대규모 감축 시동=성(省) 정부의 지휘 아래 시(市).현(縣).향(鄕)별로 공무원 수를 줄이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고위층, 그 가운데서도 '부(副)'자가 들어가는 직책을 집중적으로 없애고 있다.

우선 허베이(河北).산시(山西).랴오닝(遼寧)성과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등 네 곳에서 감축이 시작됐다. 목표는 고위급 간부의 수를 줄이고, 당 상임위원회 부서기를 거의 없애며, 직급 이동을 늘리는 것으로 잡았다. 10월부터 두 달간 진행한 결과 시.현.향별로 각각 30명, 215명, 5363명의 당 상임위원이 줄었다. 당 부서기 직도 각각 69명, 709명, 4644명이 줄었다.

보직을 바꾼 경우도 각각 20명, 231명, 4828명에 달했다. 전체적으로 1만1000여 명이 자리를 내놨고, 5000여 명이 자리를 바꾸었다. 초대형 감원, 전보 인사다. 이 같은 작업은 앞으로 단계적으로 다른 성에서도 실시될 예정이다.

이뿐만 아니다. 이번 인사 쇄신을 계기로 간부 임용에 대한 인민의 알 권리, 참정권, 간부 선출권 및 감독권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당 문건을 시.현.향별로 모두 채택했다. 실질적인 관리.감시장치를 마련하겠다는 중앙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 호화 회의, 호화 접대 금지령=국무원 재정부는 3일 '국가기관 회의비.출장비 관리 규정'을 발표해 내년 1월 1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다.

호화 회의, 호화 접대 금지다. 회의는 가급적 내부 시설을 이용해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 호텔을 사용할 수 있지만 5성급 호텔은 금지된다. 접대비는 원칙적으로 없애되, 부득이한 경우 사전 허가를 받고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무원들의 숙박비도 낮추기로 했다. 대신 회의비와 출장비는 현실화했다.

베이징=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