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회담 북한주장 수용검토|단일 팀 구성 우선 추진|통일축구 정례화 등 교류 병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정부는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체육회담의 활로를 갖기위해 북측의 주장을 대폭 수용키로 하는등 다시 대북 체육정책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육청소년부는 오는15일 판문점에서 열리는 남북체육회담에서 북한의 일본세계탁구선수권대회(4월)남북 단일 팀 구성 안을 대폭 받아들이기로 하는 등 지금까지의 「선 교류 후 단일 팀 구성」이라는 정책구조를 수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러졌다.
이 같은 대북 체육정책의 급격한 방향선회는 북방교류의 기수 박철언(박철언)신임 체육청소년부장관이 지난 연말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합의 지향적인 대북 정책을 수립하라』는 지시를 내림으로써 착수된 것이다.
체육청소년부는 이에 따라 작년10월 잠실통일축구대회이후 마련한「각종 국제대회에서의 남북단일 팀 구성참가는 통일축구정례화 등 남북체육교류의 바탕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기본방침을 불과 2개월 여만에 포기한 셈이다.
이를 위해 체육청소년부는▲북 측의 주장을 전폭 수용하는 안 ▲통일축구대회 정례화 등 남북체육교류와 범행시켜 북측의 주장을 조건부로 수용하는 안 등 두세 가지의 새로운 대북 체육교류대책을 마련, 다음주중으로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확정짓기로 했다.
당초 체육청소년부는 통일축구대회이후 북측이 주장해온 각종 국제대화의 남북단일 팀 구성이 남한의 UN단독가입을 저지하기 위한 대외적 홍보수단으로서 정치적 의도가 숨겨져 있다는 판단에 따라 통일축구정례화와 쌍방개최, 그리고 국제체육행사의 상호참가 등 체육교류의 실시가 단일 팀 구성보다 선행되어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었다.
이 때문에 지난해 11월 열린 남북체육회담에서 양측은 일본세계탁구선수권대회·세계청소년축구대회·월드컵축구대회 예선·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단일 팀을 구성하자는 북측의 주장들 놓고 서로 맞서 회담이 성과 없이 끝난바 있다.
정부는 일단 북측의 기본방침을 대폭 수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나 북측이 주장하고 있는 제3국에서의 남북합동훈련·남북 동수 선수선발 등 실무적 차원에서의 이해가 여전히 상충돼 이 같은 획기적인 대북 체육정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