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 “국민 1%가 감염”/발암확률 2∼6배 높은 “신종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외국선 수혈때 검사 필수/보건당국 예방대책 전무/서울의대 김상인교수팀 임상조사 결과
88년에야 미국에서 병원체가 확인되고 에이즈에 버금가는 무서운 신종 질환으로 꼽히는 「C형 간염」이 국내 병원에서도 환자가 잇따라 발견돼 전 국민의 1% 가량이 감염자로 추정되는 상황이나 보건당국의 무관심으로 예방을 위한 대책 등이 전혀 마련되지 않아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C형 간염은 많이 알려진 A·B형 등에 비해 발생빈도는 낮지만 간암 등 난치병으로 진전될 확률이 2∼6배나 높아 미국·유럽·일본 등지에서는 수혈때 검사를 의무화 하는 등 대책을 서두르고 있는데도 국내에선 일부 대학병원 등이 올 초부터 진단시약을 수입,극히 제한된 대상에 연구차원의 검사를 하고 있을뿐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실태=서울대 의대 임상병리과 김상인교수팀은 올 초부터 최근까지 서울대병원 등을 찾은 정상인 헌혈자 9백32명을 대상으로 항체검사를 한 결과 전체의 0.93%인 11명이 C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였다고 밝혔다.
또 한양대 병원은 최근 만성 간질환자중에서 3명의 C형 간염환자를 발견,관리중이고 서울 중앙병원도 간암 등으로 입원중인 환자 3백41명중 27명이 C형 간염 바이러스를 가진 환자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그밖에 연세대·가톨릭의대 부속병원 등 종합병원에서도 C형 간염 환자들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서울대 한규섭교수(임상병리과)는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1%가 C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로 추정된다』며 『C형 간염은 수혈이나 성,기타 밀접한 신체 접촉으로 전파되며 B형 간염보다 간경화·간암 등 난치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2∼6배 가량 높은 극히 위험한 질환』이라고 말했다.
◇대책=현재 국내에서 C형 간염 검사는 진단방법이 보편화돼 있지 않고 진단시약도 비싸(1회 8천∼1만원) 일부 종합병원에서 연구차원으로 하고 있을뿐 일반인을 상대로 정기검사를 하는 의료기관은 한군데도 없는 실정이다.
특히 주된 전파경로로 추정되는 수혈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같이 헌혈때 C형 간염 항체검사를 의무화해야 하나 보건당국은 그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며 경제적 효율성을 이유로 들어 손을 쓰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민보건 차원에서 ▲헌혈창구에서의 C형 간염검사 의무화 ▲진단검사의 의료보험 적용 ▲진단시약 국산화 등 대책을 시급히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