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따로 북따로 2원집회/범민족대회 나흘전…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서로 외길 「교류방정식」못푼셈
고차방정식 만큼이나 풀기 어려웠던 8ㆍ15 범민족대회가 대회개최 예정일 4일을 앞두고 그 최종답안에 접근하고 있다.
모든 변수를 종합해보면 결론적으로 북한ㆍ해외대표만이 판문점 북측지역에 모여 집회를 갖고 남한측은 서울이나 임진각등에서 독자행사를 갖는 「2분대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13∼17일 민족대교류기간중 남한측대표단 3백여명이 북측의 선별초청을 받아 입북해 판문점 북측지역안에서 대회를 치르는 방법도 있지만 북측태도로 볼때 가능성은 지극히 희박하다.
현재 북한ㆍ해외동포와 남한추진본부 등 3자가 최종합의한 내용은 ▲대회장소는 판문점으로 하고 ▲대회가 끝난 후 16,17일 양일간 남측대표단이 북측의 초청으로 방북,문화ㆍ체육행사를 가지며 ▲같은 기간 북측대표단도 한라산까지 통일대행진을 벌인다는 것.
홍성철통일원장관은 지난 2일 기자회견에서 『(대표단에는)특정단체나 개인만이 아닌 각계각층이 참가해야 한다』고 못박아 전민련등 특정단체만의 참가로 판문점이 「정치선전장」화 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확고한 입장을 보였으며 이같은 정부방침은 지금까지 「불변」인 것으로 알려졌다.
추진본부는 66개 단체 1천7백여명의 추진위원중 단체별로 할당해 선발한 3백여명으로 대표단 구성을 이미 끝냈으며 10일 통일원측에 명단을 전달하고 11,12일중 언론을 통해 발표키로 했다.
대표단을 재구성해 58개 보수우익단체도 참가시켜 극적으로 대회를 성사시키는 길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추진본부는 ▲보수단체가 신문광고를 내 전민련 등을 「친북」 「반체제」단체로 매도하는등 범민족대회정신과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정부의 조종을 받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대화를 재개할 뜻을 보이지 않고 있고 보수쪽도 자존심을 굽혀 가면서 참가를 구걸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설사 보수­진보연합이 이루어 지더라도 이미 보수단체 참가를 거부한 북한이 태도를 바꿀 가능성이 별로 없어 이 길은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또 하나의 길은 「민족대교류」를 이용하는 것.
즉 대표단 3백여명이 8일 개별적으로 방북신청을 해 놓았으므로 북측이 선별초청을 하면 개성ㆍ평양등지로 우회해 판문점 북측지역으로 간다는 구상이다.
우리정부도 북측이 누구를 골라 초청하든 신변안전ㆍ무사귀환만 전화통지문 형식으로 보장하면 방북은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측은 민족대교류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어서 10일 6만여명에 달하는 방북신청자 명단의 수령을 거부했다.
추진본부는 이같은 방북방안을 추진하면서도 판문점대회의 결렬에 대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추진본부는 연세대에서 ▲13일=범민족대회 개막식ㆍ평화통일대토론회 ▲14일=통일노래한마당ㆍ문화제 (「파업전야」등 영화상영) ▲15일=대표단출정식ㆍ지지대회 ▲16일=대표단방북활동 (성사불투명) ▲17일=범민족대회 보고대회등의 일정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김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