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엑스포 난제수두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대전엑스포93」이 14일 파리에서 열린 107차BIE (국제무역박람회 공인기관)총회에서 회원국(43개국)의 압도적인 지지(38개국찬성)로 93년 8월7일부터 3개월간 대전에서 개최하게됐다.
경제올림픽으로 비유되는 이번 전문 무역박람회의 성공적인 유치는 대전권의 발전을 가속화시키는것은 물론 범국가적인 발전과 함께 경제외교의 값진 성공으로도 평가되고 있다.
그간 개최여부를 놓고 우여곡절을 겪어봤던 「대전엑스포93」이 BIE 공인을 받자 1백만대전시민들은 국제적인 행사개최를 앞두고 벌써부터 기대에 부풀어있고 대전시도 무역박람회 개최지인 도룡지구(27만3천평)의 각종기반시설을위한 성토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당초 대전엑스포는 89년 정부로부터 개최지 결정을 받은 이후 91년 개최키로 했으나 93년으로 연기돼 한때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없지않았다.
엑스포93 규모는 국가관 40개국, 국제기구및 연구소20개, 해외기업 5개, 국내중견기업 다수가 참가할 행사로 하루 30만명, 총관람객 1천만명으로 추산되는 대규모 행사다.
그러나 대전엑스포는 정부의 경제적인 지원, 부대시설 준비등이 뒤따르지 못하여 자칫 소규모의 전시회정도로 전락할 우려도 없지않다.
첫째로 통상 국제박람희는 86년 밴쿠버박람회, 88년 브리스베인등의 전례를 보더라도 준비기간이 5년은 필요한데 앞으로 3년의 기간은 충분한 준비를 하기에는 너무 짧다는 지적이다.
둘째, 박람회에 소요되는 비용은 모두 4천4백억원으로 단위행사로는 올림픽 다음으로 최대규모다.
이 막대한 사업비가운데 국비는 1천6백억원이고 나머지는 대전시 관련사업비로 국비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는데 지방비부담액이 50%를 넘어 재정자립도가 취약한 지방자치단체로서는 감당키 어려운 실정이다.
셋째, 관련시설로 하천정비, 상·하수도 시설확충, 전자감응식신호체계, 하루평균 3만명으로 추산되는 외국관광객의 숙박수요, 이에따른 교통문제등을 준비하려면 매년 5백억원의 자금이 소요되는데 따른 문제점이다.
특히 기술면에서는 이번 박람회는 단순한 상품전시회와는 달리 과학의 신기술등이 선보여야하는데 과학기술이 선진국보다 뒤떨어진 점과 박람회를 치러 본적이 없는 경험미숙등이 지적되고있어 문제점이 산적해있는 실정이다.
정부와 대전시가 이같은 문제점들을 어떻게 슬기롭게 극복하고 보다 알찬 준비를 하느냐에 따라 대전엑스포의 성공여부가 달려있는 것이다.
무역박람회 개최지인 대전시민들도 개최시기 3년을 앞두고 중앙정부나 대전시 못지않게 기대감과 함께 걱정을 앞세우고 있다.
시민들은 무역박람회에 대비, 기반시설 환경정비등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는 민간기구차원에서라도 박람회 열기확산과 도움에 일조를 해야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있다.
시민 이정범씨(58·상업·대전시태평동)는 『무역박람회를 계기로 대전권발범전을 앞당기는 것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명실공히선 진국대열에 끼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각종시설 못지않게 개최지 시민들의 질서있고 품위있는 자세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전엑스포 93」은 일본이 지난 70년도 오사카박람회를 치르고 경제·정치·외교적으로10년이상의 성장을 앞당긴 것을 비롯, 세계각국의 성공적인 선례로 보아 수출규모의 촉진과 투자요인을 증폭시키는 계기가될 것이다.
이에따라 정부·대회관계자·기업등과 개최지시민들은 차질없는 준비로 이번 행사를 새로운 도약의 호기로 삼아야 될것이다.
【대전=김현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