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컴퓨터 전자파장애 방지장치가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현재 유통중인 교육용 컴퓨터(PC)들은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전자파 장애에 대한 방지장치가 전혀 없으며 기본사양이 부족해 소비자들이 구매 용량 확장 추가경비를 들여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제조회사들은 소비자들에게 「값이 싸다」「품질이 좋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과장광고를 서슴지 않을 뿐더러 할부 판매 시 현금판매 가격보다 23.6∼25.7%나 비싸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보호원이 지난 3월19∼28일 서울·부산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제조업체 6개사 전문대리점 55개소의 유통실태를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이 조사에 따르면 현재 유통되고 있는 한국 전기통신공사인증 PC의 기본사양은 대부분이 512KB의 주기억 용량과 보조기억장치로는 1개의 FDD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이 각종 응용소프트웨어와 다양한 PC기능을 위해 용량을 확장해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 주기억장치 확장에 2만2천∼3만6천원, HDD에 27만∼31만원, FDD에 6만7천∼8만6천원 정도의 추가비용을 들여야 하며 회사마다 가격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또 6개 제조업체들은 모두 PC가 모니터없는 본체만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한데도 본체만의 가격을 광고하고 있으며 현대전자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가격을, 대우전자는 마치 미국이나 캐나다의 안전규격에 합격해 인증받은 것처럼 광고하고 있다는 것이다.
삼보컴퓨터는 컬러모니터 사용이 불가능한데도 가능한 것으로 광고하며 삼성전자는 실제보다 소프트웨어가 더 풍부한 것처럼 선전하고 있다는 것.
또 금성·삼성·대우 등 3개 업체 자체의 신용판매제도를 이용할 경우 소비자들은 최고 25.7%를 더 지불하는 셈이며 신용카드를 이용해 할부 구입할 때도 19%이상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현재 유통되고 있는 교육용 PC에는 시력 저하, 두통, 만성 피로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전자파 장애에 대한 방지장치가 전혀 없는 실정인 것으로 알러졌다.
또 교육용PC의 한글·한자 입출력시스팀에 대한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인증기준과 KS의 기준이 달라 조만간 KS기준에 의한 PC가 시판될 경우 상호 기종간에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이 부족하며 기종 선택시 소비자가 혼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호원 측은 『PC기능의 원활한 활용을 위한 주기억 용량을 640KB로 하고 보조기억장치도 ▲2개의 FDD ▲FDD·HDD 각1개 ▲2개의 FDD와 1개의 HDD로 확장이 가능한 PC를 제조, 판매해야 하며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인증기준에 전자파 장애에 대한 강제기준을 추가, 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제조업체에 소비자의 판단을 오도하는 과장광고행위를 즉각 중지할 것과 대도시에 편중된 아프터서비스 조직을 중소도시 등 지방에도 활성화시킬 것』을 제안했다.
〈고혜련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