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리비아·파키스탄·이집트 북한 미사일 구매 중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로버트 조셉 미 국무부 군축.국제안보 담당 차관 등 미국 관리들은 예멘.리비아.파키스탄.이집트 등 4개국이 북한으로부터 미사일 구매를 중단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6일 보도했다. 조셉 차관은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수출을 차단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며 "이에 따라 북한의 미사일 수출은 더욱 어려워졌으며, 우리는 선적된 미사일을 보다 쉽게 적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예멘의 경우 2002년 15기의 스커드 미사일을 적재한 화물선이 적발된 이래 북한 미사일을 더 이상 구입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며, 리비아도 2003년 핵 포기 합의의 일환으로 북한과의 미사일 거래 중단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미국 관리들은 "미국으로부터 대규모 원조를 받고 있는 파키스탄과 이집트 등도 북한 미사일을 살 경우 원조를 줄이겠다는 워싱턴의 압력에 따라 북한산 미사일 구입을 중단했다"는 사실을 털어놓았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이란과 시리아는 여전히 북한 미사일을 수입하고 있다고 이들 관리는 강조했다.

조셉 차관은 6일 워싱턴 외신기자 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북한과 이란 간의 미사일 커넥션은 아주 강력하다"며 "이란 탄도미사일 기술의 주 공급원은 북한"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은 1980년 초부터 중동 지역에 미사일을 판매해 왔다. 그때부터 이란은 북한의 최대 고객이었다. 미 중앙정보국(CIA)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80년 이란-이라크전쟁을 계기로 이란에 스커드 미사일을 수출해 왔다. 북한과 이란 간에 미사일 유착이 맺어진 것은 이때부터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란은 미사일 개발을 위한 자금과 석유를 평양에 제공하고, 북한은 개발된 미사일과 그 기술을 테헤란에 제공하는 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실제로 이란이 개발한 중거리 미사일 샤하브는 북한의 노동 미사일을 응용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편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나 미사일 프로그램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구체적으로 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 현재 각국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이상일 특파원, 서울=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