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주택 25만채 건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정부는 향후 주택정책의 주안점을 저소득 근로자들의 내집 마련지원에 두기로 하고 내년부터 근로자용 주택을 많이 짓기로 했다.
건설물량은 아직 재원문제가 해결 안돼 내년1월 중 확정할 예정이나 92년까지 3년간 근로복지주택 15만 가구, 사원용 임대주택 10만 가구 등 모두 25만 가구를 지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와 함께 근로자용 주택을 건설하거나 매입할 때 주택은행의 국민주택기금을 연리 3∼5%의 싼 이자로 가구 당 1천2백만원(현행 9백만∼1천만원)까지 지원키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주택자금은 올보다 38%증가한 4조원이 공급된다.
정부는28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태우 대통령 주재로 경제기획원·재무·내무·상공·건설·노동부 등 주택관계 장관 회의를 열고 경기 둔화가 뚜렷한 시점에서 노사 분규의 악화는 국민경제 전반에 심대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전제하고 산업평화의 유지를 위해서는 근로자들의 주거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단주변 및 대도시지역에 11∼20평 (전용면적 7∼15평) 의 근로복지 주택과 사원용 임대주택을 많이 지어 월 소득 40만원 이하의 저소득 근로자들에게 집중 공급키로 했다.
내년도 근로자용 주택건설 물량은 관계부처간 협의를 거쳐 내년1월중 확정짓기로 했다.
정부는 근로자 주택을 많이 지음에 따라 내년도 전체 주택건설 물량을 당초 계획 40만 가구에서 45만 가구로 확대키로 했다.
정부가 지을 근로복지 주택은 저소득 근로자에게 분양된다.
또 사원용 임대주택은 기업체가 직접 건설하거나, 주공이나 지자제가 지은 장기 임대주택을 매입하여 사원들에게 임대된다.
정부는 특히 저임근로자들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이들에 대한 융자한도를 현행 1천만원에서 1천2백만원으로 인상하는 한편 금리는 연3∼5%를 적용하고 상환조건 역시 5년 거치 25년 분할상환으로 대폭 완화할 방침이다.
또 기업이 보유 부동산을 팔아 근로자 주택을 지을 때는 금융·세제상의 혜택을 주며, 사원용 임대 주택 건설을 위한 택지취득도 지원키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