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 보충질의·답변 접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여야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일증언을 위한 청문회 운영절차 방식을 막후절충, 쟁점사항인 보충질의 방식을「구두질의·답변」으로 하되 시간과 인원에 엄격한 제한을 두기로 의견을 접근시켰다.
4당 총무들은 비공식접촉을 통해 이 같은 원칙을 정했으며 국회5공과 광주특위는 26일 오후 두 특위위원장·간사참여의 10인 연석회의에서 이 문제와 TV중계, 의사진행발언, 연석청문회의 주관위 선정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확정한다.
보충질의문제는 당초 민정당측이 서면질의·답변 방식을 요구하고, 야당측이 특위별로 4명씩 모두 8명이 현장에서 1문1답식 진행을 해야한다고 맞섰으나 결국 △현장에서 구두방식으로 △양특위대표 4당 1명씩 4명 △질의시간은 본회의방식에 준해 10분 이내 △답변은 질문내용을 묶어, 일괄로 하는데 의견접근을 보았다.
TV중계문제는 녹화방영이 여야합의사항이나 31일 증언시작과 비슷한 시점에 시작하지 않으면 90년으로 「넘어가게 돼 이 경우 「연내청산」이란 원칙을 깬다는 점에서 녹화중계를 하되 다소간의 시차를 두어 31일 중 모두 방영함으로써 사실상 생중계효과를 거두는 쪽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의사진행 발언문제는 각 당간 정치성 공세 경쟁이 될 가능성을 민정당측이 지적하고 있는데 각 당별 대표질문자가 자기네 의원들의 의사진행발언요구내용을 취합해 보충질의 때 함께 하는 방안이 절충되고 있다.
또 합동청문회를 5공 특위 또는 광주특위가 맡을 것이냐의 주관위원회 선정문제는 △형식은 연석회의지만 안건내용이 별개인 만큼 △시작직후 양특위위원장이 함께 선서를 받되 △사회는 따로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