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2세가 미국 F -18전투기·파일럿 구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한인 2세가 미태평양함대 소속 F-18 전투기와 파일럿의 생명을 건져 화제가 되고있다. 주인공은 8000명이나 되는 아브라함 링컨 항공모함 승무원 중 유일하게 한국어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찰스 황(21.사진) 상병.

황상병의 무용담은 지난 3월 말 훈련 중에 생겼다. 태평양함대의 아시아순회 훈련 중 황 상병이 근무하는 링컨 항모에 착륙을 시도한 F-18 전투기가 발단이었다.

항공모함과 함께 작전에 참여하는 F-18 전투기는 착륙시 꼬리부분에 달린 착륙고리를 밑으로 내린채 50미터 남짓한 항공모함 활주로에 착륙하게 된다. 이때 활주로에 준비된 5개의 착륙로프 중 하나에 착륙고리가 걸리게 되면 무사히 항모위에 내릴 수 있다.

그런데 당시 그 F-18 전투기는 수차례 착륙 시도에도 불구하고 착륙로프에 고리를 거는데 실패 계속된 선회비행으로 결국 다음 착륙로프 준비시간까지 기다릴 연료를 모두 소진해 버렸다.

음속 1.8까지 속도를 낼 수 있는 이 전투기는 급히 기수를 돌려 가장 가까운 비행장인 한국 S전투비행장으로 향했다.

그런데 문제는 영어로 이런 급박한 돌발상황을 한국 관제탑에 충분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그때 8000명 중 유일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황 상병이 문제의 해결사로 호출된 것이다.

황 상병은 한인 2세지만 어릴 때 성당에서 한글을 배워 한글편지를 쓸 정도의 수준을 갖춘 이중언어 구사자. 그는 유창한 한국어로 이러한 상황을 한국에 알렸고 다행히 S전투비행장측에서 착륙을 허가 무사히 파일럿과 F-18 전투기를 구할 수 있었다.

황 상병의 활약으로 수천만달러를 호가하는 전투기를 안전하게 구할 수 있었으며 또한 전투기보다 더 비싸다는 파일럿의 생명도 살릴 수 있었던 것이다. 사건을 보고받은 미해군참모총장은 6월 말 황 상병에게 비전투시 개인에게 주는 최상위 공로훈장을 수여하고 노고를 치하했다. 한편 부친 황인협(51)씨는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한인들의 능력을 미주류에서 인정한 것"이라면서 "찰스같은 한인 2세들이 한미동맹에 큰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주중앙일보 신승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