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당뇨병과 예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모든 질병은 예방이 최선의 관리방법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일반적으로 질병의 예방은 발생원인을 규명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당뇨병의 경우는 현재까지 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새로운 관련사실들이 속속 알려지고 있으나 아직 그 근본원인은 확실히 규명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는 당뇨병에 대한 완벽한 근원적인 1차 예방은 힘든 상황이라 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의 원인규명 연구과정 중에 확인된 사실과 현재의 진보된 치료방법을 충분히 활용하면 그 발생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당뇨병에서는 그 발생에 대한 1차적인 예방도 물론 중요하나 이미 당뇨병이 발생된 경우에서도 그에 동반되는 합병증이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2차적인 예방대책도 필수적인 사항이다.
현재 당뇨병의 원인에 관련되는 인자로 인술린의존형 당뇨병은 유전적소인과 바이러스 감염 및 자가면역인자가, 인술린비의존형 당뇨병은 유전적 소인, 음식의 과다섭취와 운동부족에 의한 과체중과 비만증, 심한 정신·육체적 스트레스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대책이 1차적인 예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중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유전적 소인이나, 이는 이미 대어날 때 결정돼 있으며, 또 현재 당뇨병이 확실히 유전에 관련된다는 간접적인 증거는 많으나 당뇨병 발생의 직접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확인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 유전형태도 규명되지 못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예방은 실제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당뇨병의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태어났다 해도 모두 당뇨병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많은 경우에서 다른 관련인자들, 즉 과체중, 비만증, 심한 정신·육체적 스트레스 등이 동반되었을 때 실제 당뇨병이 발생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특히 이런 당뇨 유발성 관련인자들이 동반되지 않도록 평소에 노력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대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 고칼로리 음식의 과잉섭취를 피하고 적절한 운동으로 비만증 발생을 방지하며 항상 즐거운 마음으로 주어진 일을 성실히 수행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해 지금과 같은 복잡한 사회생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신·육체적인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예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상 당뇨병에 대한 소개를 마치며, 당뇨병은 결코 불치의 병이 아니고 현재의 치료방법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정상인과 같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점과 당뇨환자의 가장 중요한 주치의는 바로 환자 자신임을 강조하고 싶다.
◇다음주부터는 김현우 국립의료원 신경정신과장이 집필하는 「정신과 질환」을 연재합니다.
손호영<가톡릭의대교수·내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