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탈당 안 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통령의 인사권 행사를 둘러싸고 열린우리당과 청와대 사이에 폭풍 전야의 긴장이 흐르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설까지 흘러나온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4일 기자에게 "탈당설은 사정을 잘 모르고 하는 얘기"라며 "대통령은 끝까지 당에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노 대통령이 문재인 전 민정수석의 법무부 장관 임명을 강행하나.

"그렇게 해석하면 오버하는 것이다."

-'문재인 카드'를 접었다는 말인가.

"문 전 수석은 검토 중인 여러 후보 중 한 명이다."

-정확히 얘기해 달라. 이병완 비서실장의 얘기를 들어 봐도 문 전 수석에 대한 입장이 명확하지 않다.

"법무부 장관 인선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 청와대 참모 중 누구도 지금 이 문제에 대해 정확히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이 실장의 발언은 대통령의 인사권을 흔들면 안 된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지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게 아니다."

-노 대통령의 탈당 등 중대 결심설도 흘러나오고 있는데.

"전혀 아니다.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하는 얘기일 뿐이다. 전혀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그렇게 말하는 근거는 뭔가.

"대통령은 탈당하지 않는다. 끝까지 당에 남을 것이다. 대통령이 여러 번 얘기하지 않았나. 대통령은 탈당의 'ㅌ'자도 꺼낸 적이 없다. 대통령의 탈당을 바라는 정치권 일각에서 자꾸 그런 쪽으로 몰고 가는 것 같다."

(노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열린우리당 이광재 의원도 최근 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저녁식사를 함께한 사실을 공개했다. 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탈당 안 한다. 당이 깨져선 안 된다. 나도 각별히 신경을 쓰겠다. 단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열린우리당을 정면 공격한 이병완 실장의 3일 발언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한 권한이다. 이것을 흔들면 안 된다. 그 사례로 문 전 수석 문제를 언급한 것이다. 열린우리당이 문 전 수석에 대해 '사람은 좋으나 법무부 장관에는 안 된다'는 식으로 반발하는 것은 대통령의 인사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대통령의 심경을 이 실장이 대신 전달한 것으로 보면 된다."

-휴가 중인 노 대통령은 어떻게 지내는가.

"김병준 부총리 거취 문제가 일단락된 2일 이후 외부 인사와의 접촉을 끊고 관저에서 8.15 구상에 몰두하고 있다. 8.15 기념사 초안 작성에 필요한 각종 보고서를 참모들이 수시로 올리고 있으며 노 대통령은 밤늦게까지 보고서를 꼼꼼히 읽고 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