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연습』삶의 모습을 시작과정 빌려 표현|『땅따먹기』어린시절 추억 통해 세태를 풍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하루는 강의를 마치고 나오다가 데모하는 학생들과 가두진출을 막는 전경들이 교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치하고 있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이러한 상황이야 가끔 보는 일이지만 지금까지 그때의 그 착잡했던 심경을 잊을 수 없는 것은, 교문 안쪽에서 열심히 소리를 외쳐대는 학생과 이들의 진출을 막기 위해 방패를 들고 서있는 대열중의 한 전경이 바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같은 강의실에서 공부하던 학우였기 때문이다.
왜 같은 학과의 학우가 교문의 안과 밖에서 대치하고 있어야 하는가? 이는 먼 훗날 역사가 증명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이 시대의 아픔이요 암울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그들이 처한 현상적 입장이야 학생이든 전경이든 이 나라의 젊은이들이며 우리의 민족사를 이끌고 나아갈 내일의 주인공들이 아닌가.
순리에 따라 지성과 덕성으로 시대적 사명을 다해줄 것을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한 수경의 작품을 대하니 문득 이러한 생각이 떠오른다.
김태성의 <향수>는 차마 할 말을 다 못하는 그리움의 정서를 내보이고있다. 향수란 인간 본연의 정서일 것이다.
김창현의 <녹두꽃>은 전봉준의 동학혁명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바탕으로 농부의 순박한 삶이 겹쳐 공감을 준다.
권난희의 <시인연습>은 곧 삶의 연습이라 할 수 있겠다. 삶이 연습은 될 수 없지만 현실적 삶의 모습을 시작을 통해 보여준 시조라 하겠다.
이인수의 <땅따먹기>는 유년의 추억을 제재로 하여 현실적 의미(세태)를 투영한 시사적 인 작품이다.
현대시조는 삶의 현실성이 깃들여 있어야 한다. 독자들은 이점을 유의하기 바란다.
김제현<시조시인·장안대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