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콤플렉스 `한방 클리닉 어때요?`

중앙일보

입력


초등학생 중에 키가 작아 콤플렉스를 갖고 있는 아이들이 많다. 주위에선 "중학교에 가면 키가 큰다" "고등학교 때까지 계속 크니까 걱정말라" 는 말로 위로하지만 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늦게까지 키가 크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아이들도 많다. 뼈의 성장판이 닫혀 성장이 일찍 정지되는 경우다. 요즘 청소년들은 사춘기가 빨라지면서 제 2차 성징도 빨리 나타난다. 성(性) 호르몬이 성장 호르몬보다 왕성하게 분비되는 것이다. 그 결과 성 호르몬이 연골부위에 있는 성장판에 융합을 일으켜 닫히게 하기도 한다. 그래서 키가 크려면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손을 써야 한다.

키에 있어 유전적 영향은 절대적이지 않다. 부모의 모든 조상들이 작았다면 모를까 어느 한쪽 조상이 컸다면 유전적 인자는 큰 쪽과 작은 쪽 모두를 갖게 된다. 문제는 어느 쪽 인자가 더 발현되느냐다. 키가 큰 조상의 유전인자가 더 힘을 쓰면 키가 커진다. 성장과정에서의 질환이나 생활환경, 식생활도 키에 영향을 미친다.

어린 자녀가 매년 4cm 이하로 자랄 때나 10세 미만에서 또래보다 5cm이상 작으면 저성장을 의심해야 한다. 의사 검진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한의원의 성장크리닉이 많은 도움을 준다.

키가 작은 아이는 뼈의 향후 성장 가능성을 살펴봐야 한다. 뼈 단면도를 보기 위해 정밀한 고밀도 검사를 한다. 뼈 성장판이 닫혀 있는지의 여부와 성장할 수 있는 뼈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가늠해 보는 것이다.

키가 큰다는 것은 뼈가 자라는 것을 말한다. 뼈가 커지면 뼈 속이 차면서 뼈 성장이 멈춘다. 연골세포가 골세포로 변화하면서 골형성(骨化)이 이뤄진다. 이것이 뼈가 평생 크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이 지나면 더 크지 않는 이유다.

염한의원 염창훈 원장은 "자연스런 뼈 성장이 예측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아이들이 있다"며 "모든 저성장 어린이들이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뼈 상태 진단과 미래의 키 예측은 수많은 성장 진료를 통한 임상 경험과 자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뼈 성장이 더딜 것으로 예상되는 어린이는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등을 통해 성장을 촉진한다. 치료는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침 및 약물요법과 휘거나 굽을 뼈를 교정하는 추나(推拿)요법을 병행한다.

먼저 체질 진단을 통한 침요법으로 인체의 기(氣) 평형을 이뤄 더 나은 성장을 돕도록 한다. 또 한약 처방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 추나요법은 일일이 손으로 짚어 뼈 상태와 형태를 파악해 시술함으로써 뼈가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 주고, 동시에 휘거나 굽은 뼈를 교정해 '숨은 키'까지 되찾게 도와준다.

만성 질환에 시달리는 아이는 키가 잘 크지 않는다.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만성 비염을 앓거나, 알러지 질환 등이 있을 때다. 인체의 모든 에너지가 이런 질병들과 싸우는 데 쓰이다 보면 성장은 뒷전으로 밀리기 마련이다. 따라서 만성 질환은 조속히 치료해야 한다.

키에 관한 잘못된 상식이 성장을 더디게 하기도 한다. "고기와 칼슘약을 먹고 철봉에 매달리며 키가 큰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염 원장은 "고기를 많이 먹으면 살만 찌고, 칼슘제를 먹으면 뼈가 크는 게 아니라 뼈를 단단하게 해 더이상 키가 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철봉에 매달리면 팔만 길어진단다.

◇성장 호르몬을 더 분비하게 하려면…

성장 호르몬과 성 호르몬은 길항관계로, 한 호르몬 분비가 왕성하면 다른 호르몬 분비는 감소한다. 성장 호르몬은 아이들 성장에, 성 호르몬은 성숙에 관련된다. 성장 호르몬 분비가 활성화되면 키가 많이 커지고, 성 호르몬 분비가 더 활발하면 성숙이 빨라져 일찍 성장이 멈춘다.

성장 호르몬은 뇌가 안정돼 있고, 운동을 잘 할 때 분비가 왕성하다. 성 호르몬은 뇌가 흥분돼 있고, 운동을 잘 못할 때 분비가 왕성해 진다.

① 사고 방식을 바꿔라
어떤 생각을 하느냐가 어떤 호르몬을 분비할 지를 결정한다. 적극적, 긍정적 사고는 뇌를 안정시키고 지구력과 집중력을 높여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

② 운동을 많이 해라
뼈는 수직으로 발달하는 뼈(다리 뼈, 팔 뼈)와 수평으로 발달하는 뼈(상체 뼈)로 크게 나뉜다. 수직으로 발달하는 뼈가 키가 크는데 큰 도움을 준다. 그래서 다리 운동에 집중해야 한다. 걷기, 줄넘기, 계단 오르기,누워 자전거 타기, 앉았다 일어서기,누워서 다리 들어올리기 등 발목과 무릎, 골반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운동이 좋다.

③ 채소를 많이 먹어라
뼈는 단백질이나 지방이 아닌 무기질이 주 성분이다. 채식으로 무기질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당근, 오이, 양배추, 브로커리,버섯, 토마토 등을 많이 먹어야 한다. 채소와 고기의 섭취 비율은 8대 1정도가 바람직하다.

④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라
성장 호르몬은 숙면을 취하는 오후 10시~오전 2시에 왕성하게 분비된다. 초등학생이나 초등학생 미만의 어린 아이들은 이보다 더 일찍 잠자리에 들게 해야 한다.

⑤ TV. 비디오.컴퓨터 게임을 멀리하라
이것들은 아이들 뇌를 흥분시켜 성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뼈의 골화를 앞당긴다. 더 무서운 것은 학습 효과로 '또 하고 싶다'는 생각을 불러 일으키고, 이 생각은 성 호르몬 분비를 촉진 시킨다. 이것이 성장 호르몬 분비를 막는 주범이다.

자료=염한의원 www.ijaram(아이자람).org
도움말=염한의원 02-420-1231, 오상한의원 02-470-0021

◇ 자문의 염종훈 약력
-현 염한의원 원장
-미국 사우스 베일러대 졸업
-경희대 한의대 석사
-한국 및 미국 한의사 면허 취득
-현 대한한방내과학회 정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